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4-01Big data analysis on demands for environmental policies

빅데이터를 활용한 환경분야 정책수요 분석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형태사항
134 p. 도표 그래프 25 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4-01
서지주기
참고문헌(p.113-116)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344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344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및 범위 3. 연구 방법 제2장·빅데이터의 정의와 활용 1. 빅데이터의 개념 및 시장 2. 국내외 빅데이터 정책 현황 가. 국내 빅데이터 정책 현황 나. 해외 빅데이터 정책 현황 다. 종합 및 시사점 3. 국내외 빅데이터 활용 사례 가. 영유아 보육정책에 대한 국민정서 분석 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을 위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 다. 소셜 빅데이터 재난관리 운영방안 및 이슈 탐지 라. Global Forest Watch/Media Watch on Climate Change 제3장·빅데이터 기반 정책분석 방법론 1. 정책분석을 위한 빅데이터의 적용 가능성 2. 소셜 빅데이터 분석 기법 가. 빈도 분석 나. 감성 분석 다. 연관어 분석 라. 네트워크 분석 3. 연구의 분석 방법 설정 가. 소셜 빅데이터 분석 절차 나. 분석 주제 설정 다. 분석 키워드 선정 및 정제 제4장·환경분야 빅데이터 분석 결과 1. 분석 데이터 개요 2. 환경 전반에 대한 분석 결과 3. 세부 환경분야별 분석 결과 가. 종합 나. 기후 다. 대기 라. 생물다양성 마. 소음 바. 수질 사. 쓰레기/폐기물 아. 인적재해 자. 유해물질/보건 차. 토양 카. 해양 타. 악취 파. 빛공해 4. 세부 환경분야별 특성 비교 5. 환경분야 정책수요 분석을 위한 제언 제5장·환경분야 빅데이터 응용방안 1. 소셜 빅데이터와 행복도 2. 분석 방법 및 자료 3. 분석 결과 제6장·결 론 참고 문헌 <부록> 탐지 및 배제 키워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