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4-06Spatial Planning Method and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II)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방법의 개발과 모의적용 연구(II)
- 저자
- 김동현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234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4-0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19-23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5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및 구조, 단위
4. 모의적용 대상지역 선정
제2장 연구의 이론적 기반
1. 커뮤니티 기반 적응관련 연구
가. 커뮤니티 기반 적응의 개념과 범위
나. 커뮤니티 기반 적응에서의 도구
2. 커뮤니티 기반 적응의 개념적 확대
가. NEXUS적 접근의 적용
나. NEXUS적 접근의 개념 확장을 통한 네 가지 통합 방향
제3장 연구의 방법
1. 연구 방법의 구조
2. 대상지역 특성파악을 위한 방법
가. 물리적 취약장소 특성파악
나. 사회적 취약장소 특성파악
3. 공간계획 방법
가. 계획가 그룹의 설정 및 교육
나. STEP 1 ~ STEP 6의 실행단계 전략 구성
4. 공간계획 모의효과 파악 방법
가. 대상지역 도시열섬 저감효과 분석 방법(ENVI-met)
나. 대상지역 홍수(강우 유출수) 저감효과 분석 방법(LIDMOD2)
제4장 대상지역 특성파악 분석결과
1. 주 대상지역과 보조 대상지역
2. 물리적 취약장소 특성파악
가. 부산광역시 열파 및 홍수 취약특성
나. 대상지역의 열파 및 홍수 취약특성
3. 사회적 취약장소 특성파악
가. 사회적 민감도 특성
나. 역량결핍 특성
다. 공간적 배제 특성
라. 보조 대상지역의 특성파악을 통한 시사점
제5장 공간계획방법 모의적용 결과
1.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새밭마을
가. STEP 1 : 대상지역 공간 기초조사
나. STEP 2 : 대상지역 공간맥락 파악
다. STEP 3 : 대상지역 계획목표 설정
라. STEP 4 : 대상지역 시나리오 도출
마. STEP 5 : 공간계획(안) 도출
바. STEP 6 : 공간계획에 따른 단위사업 및 경로구성
2.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필봉오름마을
가. STEP 1 : 대상지역 공간 기초조사
나. STEP 2 : 대상지역 공간맥락 파악
다. STEP 3 : 대상지역 계획목표 설정
라. STEP 4 : 대상지역 시나리오 도출
마. STEP 5 : 공간계획(안) 도출
바. STEP 6 : 공간계획에 따른 단위사업 및 경로구성
3. 대상지역 공간계획(안)에 따른 시뮬레이션
가. 열파 저감효과 시뮬레이션
나. 홍수 저감효과 시뮬레이션
4. 모의적용 결과의 시사점
제6장 정책적 시사점 및 결론
1. 정책적 시사점
가. 계획방법의 적용을 위한 중간조직 및 프로그램
나. 계획과정 적절성 평가의 방안
2. 결론 및 향후연구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