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4-22The impact of national plan for future electric energy production on ambient air quality of Korea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미래 대기질 영향과 대응을 위한 국제공동연구(I)
- 저자
- 심창섭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95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4-22
- 원표제
- The impact of national plan for future electric energy production on ambient air quality of Korea
- 서지주기
- 참고문헌(p.79-81)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6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6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주요 내용
제2장 제6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을 반영한 국내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1.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개요
2. 제6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반영한 국내 대기오염 배출량 추정
가. 물질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산정
나.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산정
제3장 동아시아 지역의 미래 대기오염 배출 시나리오
1. 동아시아 배출량 자료 인벤토리
2. 국제 에너지 기구(IEA)의 미래 에너지 소비 시나리오(BAU 시나리오)
가. 주요 에너지 수요
3. 동아시아의 저감 정책을 고려한 중국의 미래 배출 시나리오(PC 시나리오)
제4장 대기화학-수송 모형을 활용한 대기질 영향 분석
1. GEOS-Chem 모형의 개요와 활용
2. GEOS-Chem 수치모의 평가
가. 수치모의 평가
3. 주요 대기오염 물질의 수치모의 결과
가. Baseline 수치모의(2009년, INTEX-B Street 배출량 목록 사용)
나. 환경기준 초과일 수
다. 6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른 미래 대기질 변화(2027년)
라. 중국의 BAU 배출 시나리오(IEA)에 따른 2027년 국내 대기오염 전망
마. 중국의 저감 시나리오(PC)에 따른 2027년 국내 대기오염 전망
바. 장거리 이동의 영향
사. 분석의 불확실성과 요인 및 추가 연구 사항
4. 소결
제5장 전력수급 기본계획의 환경적 평가
1. 전력 수급계획의 잠재적 대기질 영향
2. 배출량 및 인구를 고려한 대기영향 지표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 문헌
부록 1·전력 발전소 목록 (2010 vs 2027)
부록 2·GEOS-Chem 의 Full chemistry에서 다루는 화학물질 (tracer) 목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