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7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기존 연구의 동향
3. 연구의 범위와 보고서의 구성
가. 연구의 범위와 목표
나.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배경과 체제
1.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배경과 역사
가.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역사
나.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설립 배경
2.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체계와 조직
제3장 남미인프라통합의 허브별ㆍ분야별 추진 현황과 발전전망
1. 개관
2. 남미인프라통합의 허브별ㆍ분야별 추진 현황과 발전 전망
가. 메르코수르ㆍ칠레(Mercosur-Chile) 허브
나. 페루ㆍ브라질ㆍ볼리비아(Peru-Brazil-Bolivia) 허브
다. 아마존(Amazon) 허브
라. 남회귀선(Capricorn) 허브
마. 안데스(Andean) 허브
바. 중부 대양 간(Central Interoceanic) 허브
사. 파라과이ㆍ파라나 수로(Paraguay-Paraná Waterway) 허브
아. 기아나 허브
자. 남부(Southern) 허브
차. 남부 안데스(Southern Andean) 허브
제4장 남미인프라통합의 영향과 역할
1. 남미인프라통합과 브라질의 역할
가. 남미인프라통합과 브라질 역할의 당위성: 지정ㆍ지경학적 관점
나. 브라질 물류통합과 남미인프라통합의 연관성
다. 남미인프라통합사업 금융지원관계와 브라질
라. 브라질 주도의 남미인프라통합구상과 시사점
2. 남미인프라통합의 영향과 환경
가.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나. 사례 연구
다.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대응과 정책적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남미인프라통합의 발전전망
2. 우리나라의 남미인프라시장 진출에 대한 시사점
가. 새로운 해외인프라시장 개척 및 에너지자원 확보
나. 남미인프라시장 진출의 다각화
다. 국가 차원에서의 진출지원 확대
라. 현지 기업과의 협력 또는 컨소시엄을 통한 진출
마. 남미인프라통합구상의 사업참여와 연구, 신속한 의사결정
바. 국제개발은행과의 협력 확대를 통한 남미인프라시장 접근
사. 국가별 인프라 투자매력도에 대한 고려
3. 남미경제통합 발전에 대한 시사점
가. 열린 지역주의와 남미지역의 인프라
나. 남미인프라통합과 남미경제통합 발전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