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PF 공공기관연구 12-03

공공기관 유형별 유연근무제 활성화 방안

저자
김보은
발행사항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공공기관연구센터 2012
형태사항
129 p. 그래프 도표 26cm
총서사항
KIPF 공공기관연구 12-03
서지주기
참고문헌 (p.129)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24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24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Ⅰ. 연구배경 및 목적 1. 유연근무제 도입과 확산 2.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모색 Ⅱ. 설문조사 개요 1. 개요 2. 대상기관 3. 설문지 구성 4. 설문조사 Ⅲ. 분석결과 1. 유연근무 선호형태 2.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 3. 시간제근무제도 활용현황 4. 탄력근무제도 활용현황 5. 근무시간선택제 활용현황 6. 집약근무제 활용현황 7. 재량근무제 활용현황 8. 재택근무제도 활용현황 9. 스마트워크 활용현황 10. 유연근무제 활용중단 Ⅳ. 상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 1. 상관분석 2. 분산분석 Ⅴ. 직무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1. 직무특성 2. 직무특성에 따른 직무별 유형화 Ⅵ. 유연근무제 활용의사 1. 인력특성 중심 2. 기관중심 Ⅶ. 정책적 시사점 1. 유연근무제 활용만족도: 활용규모와 수용수준 2. 선호 유연근무 형태: 유연성과 규칙성의 조화 3. 유연성 수준에 따른 순차적 도입과 관리: 시간과 장소의 유연성 4. 유연근무제 활용환경개선: 교육홍보와 정부주도의 변화 5.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업무수행: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