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국가 녹색성장 기반 구축과 잠재력 활성화KEI-a 녹색성장연구 2012-04A Study of Environment-Friendly Island Tourism Development
도서지역 친환경 관광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310 p. 삽화(일부채색) 도표 26cm
- 총서사항
- 국가 녹색성장 기반 구축과 잠재력 활성화 KEI-a 녹색성장연구 2012-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71-28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3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3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방법론
제2장 지속가능한 도서 관광개발
1. 친환경적 도서지역 관광개발의 개요
가. 도서(섬)지역과 관광개발
나. 도서지역 관광개발에 따른 영향
2. 지속가능한 도서(섬) 관광개발과 필요성
가. 지속가능한 도서(섬) 관광개발의 정의
나. 국내·외 지속가능한 관광지표
3. 지속가능한 도서(섬) 관광을 위한 지표
가. 지속가능한 도서(섬) 관광의 필요성
나. 국외 지속가능한 도서(섬) 관광 지표
다. 지속가능한 도서(섬) 관광개발 방향
제3장 국내 도서 및 관광개발계획 현황
1. 도서지역의 입지현황 분석
가. 우리나라 주요 도서지역 현황
나. 연구대상 도서지역의 현황
다. 도서(섬)지역 관광개발
라. 최근 우리나라 도서(섬)지역 관광 및 개발 현황
2. 관련 법·제도 및 계획의 현황 및 문제점
가. 도서지역 관련 법 및 제도의 현황
나. 도서지역 관련 계획의 현황
3. 도서지역 관광개발 현황 및 문제점
가. 도서지역 관광개발사업 현황
나. 도서지역 관광개발의 문제점
다. 도서지역 담수용량을 고려한 개발규모 산정
4. 국내·외 도서관광개발 사례조사
가. 국내 도서관광개발 사례
나. 국외 관광개발사례
제4장 도서관광계획 수립을 위한 입지적절성 분석 사례연구
1. 도서현황을 고려한 개발여건 분석 사례
가. 생태현황자료를 고려한 개발여건 분석(재원도 정밀생태조사)
나. 도서지역의 생태적 연결성 분석 및 개발 적합성 분석
제5장 친환경적 도서관광개발을 위한 개선방안
1. 기본방향
가. 육지 중심의 가치의 전환 필요
나. 지속가능한 섬과 어촌을 위한 관광계획 수립
다. 도서지역주거환경 개선을 동반하는 관광개발계획 수립
2. 제도적·정책적 개선방안
가. 친환경적 관광계획을 위한 법·제도 및 계획기반 정비
나. 도서지역 현황 조사체계 강화(생태·인문 환경조사의 일원화)
3. 자연·생태적 개선방안
가. 전국/지역 관광개발계획의 전략환경평가방안
나. 해수담수화 설비를 이용한 관광개발의 적절성 검토
다. 생태적 가치 산정을 위한 평가방안
4. 인문·사회적 개선방안
가. 자연재해
나. 도서 인문사회
제6장 제언 및 결론
1. 지속가능한 개발 가이드라인
가. 관광계획 관련 제도와 정책
나. 생태와 환경 다. 도서 인문·사회적 고려사항
2. 정책적 제언 참고 문헌
부록 1. 신안군 증도 슬로시티 지원 및 운영에 관한 조례
부록 2. 조사지역(재원도) 출현 동·식물 현황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