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Post-Kyoto 대응과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KEI-a 녹색성장연구 2012-05Climate Change Negotiations for the Post-Kyoto Regime-Key Issues and Implications IV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 IV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56 p. 도표(일부채색) 26cm
- 총서사항
- Post-Kyoto 대응과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 KEI-a 녹색성장연구 2012-0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5-97)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3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3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3. 기대효과
제2장 2012년 기후변화 협상동향
1. 독일 본(Bonn) 회의
가. 교토의정서 하 부속서 I 당사국의 추가공약에 관한 특별작업반(AWG-KP) 회의
나. 유엔기후변화협약 하 장기협력행동에 관한 특별작업반(AWG-LCA) 회의
다. 더반플랫폼에 관한 특별작업반(ADP) 회의
2. 피터스버그(Petersburg) 회의
가. 첫 번째 세션: 향후 기후대응 노력을 위한 기반 작업
나. 두 번째 세션: 국제 기후 체제에서의 형평성 보장
다. 세 번째 세션: 기후행동과 지속가능발전 간 병행 가능성
라. 네 번째 세션: 2020년 이전의 기후행동 강화방안
마. 다섯 번째 세션: 도하 총회에서 예상되는 결과물
바. 평가 및 대응방향
3. 태국 방콕(Bangkok) 회의
가. 교토의정서 하 부속서 I 당사국의 추가공약에 관한 특별작업반(AWG-KP) 회의
나. 유엔기후변화협약 하 장기협력행동에 관한 특별작업반(AWG-LCA) 회의
다. 더반플랫폼에 관한 특별작업반(ADP) 회의
4. 녹색기후기금 서울 제2차 이사회
5. 서울 Pre-COP
제3장 2012년 유엔 기후변화협상 주요 워크샵
1. 범지구적 장기목표와 감축방안
가. 선진국 감축
나. 개도국 감축
2.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공평한 접근
제4장 중국의 기후변화 협상전략
1. 중국의 에너지 사용 및 탄소배출 현황
2. 장기 탄소배출 시나리오 및 감축 논리
3. 중국의 국내 기후변화 대응정책
4. 중국의 기후변화 협상전략
가. 중국의 협상전략 기조
나. 중국의 향후 협상전략 전망
제5장 현 유엔 기후변화 협상 체제 내 주요 쟁점
1. 교토의정서 하 부속서 I 당사국의 추가공약에 관한 특별작업반(AWG-KP) 회의
가. 정량화된 감축목표
나. 잉여 배출권의 이월
다. 공약기간 간 법적 공백
2. 유엔기후변화협약 하 장기협력행동에 관한 특별작업반(AWG-LCA) 회의
가. 공유비전
나. 검토
다. 감축
라. 재정
3. 더반플랫폼에 관한 특별작업반(ADP) 회의 가. Pre-2020(감축목표 상향)
나. Post-2020(ADP의 비전)
제6장 도하 당사국총회 결과와 추후 대응방향
1. 도하 당사국총회 결과
가. 교토의정서 하 부속서 I 당사국의 추가공약에 관한 특별작업반(AWG-KP) 회의
나. 유엔기후변화협약 하 장기협력행동에 관한 특별작업반(AWG-LCA) 회의
다. 더반플랫폼에 관한 특별작업반(ADP) 회의
2. 추후 대응방향 참고 문헌 부록
부록 1. AWG-KP 결과물
부록 2. AWG-LCA 결과물
부록 3. ADP 결과물
부록 4. 약어 설명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