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국종합연구 협동연구총서 18-67-08

중국의 대외개방정책 40년 평가와 전망

발행사항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형태사항
337p. 도표 24cm
서지주기
각 장별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525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52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연구의 내용 및 특징 참고문헌 제2장 중국의 대외개방 단계와 단계별 주요 정책 1. 중국의 대외개방 단계 가. 초기 개방단계(1978~91년) 나. 대외개방의 심화단계(1992~2001년) 다. 제도적 개방단계(2002~12년) 라. 주동적 경제외교전략 추진단계(2013년~현재) 2. 개방단계별 주요 개방 조치 가. 초기 개방단계(1978~91년) 나. 대외개방 심화단계(1992~2001년) 다. 제도적 개방단계(2002~12년) 라. 주동적 경제외교전략 추진단계(2013년~현재) 3. 대외개방 40년의 경제적 성과와 과제 가. 경제적 성과 나. 향후 과제 참고문헌 제3장 중국의 지역개방 전략 평가 1. 중국의 시기별 지역발전 전략과 지역개방 2. 지역개방의 확대: 점 → 선 → 면 → 전방위 개방 가. 경제특구 개방 나. 연해지역 중심의 개방 다. 전방위 개방 3. 개방형 경제의 신체제 구축: 자유무역시험구 전략 가. 출범 배경과 특징 나. 발전 과정과 주요 내용 4. 과제와 전망: 하이난 자유무역항과 ‘일대일로’ 전략 가. 가장 높은 수준의 개방 목표: 하이난 자유무역항 구축 나. 지역개방과 ‘일대일로’ 연계 참고문헌 제4장 중국의 외국인투자 전략 1. 외국인투자 전략의 전개 과정 2. 중국의 외국인투자 관련 주요 이슈 가. 외국인투자 관리체계의 변화 나. 네거티브 리스트 제도의 도입 다. 외자의 경제성장 기여도 3. 외국인투자 제도의 개혁 전망 참고문헌 제5장 중국의 해외투자(走出去) 전략 평가 1. 중국의 해외투자 발전단계 평가 가. 탐색단계(1979~92년) 나. 조정단계(1993~2000년) 다. 점진적 성장단계(2001~07년) 라. 대규모 발전단계(2008년~현재) 2. 중국의 해외투자 관련 주요 이슈 가. ‘일대일로’와 투자편리화 나. 글로벌 산업협력과 해외경제무역협력구 건설 다. 중국 산업정책과 해외투자의 연계 3. 과제와 전망 가. 시진핑 집권 2기 해외투자 전략의 방향과 과제 나. 리스크 요인: 미·중 통상분쟁과 중국의 해외투자 도전 다. 기회요인: 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의 해외투자 전망 참고문헌 제6장 중국의 FTA 전략 1. FTA 체결 현황 2. FTA 전략의 추진 과정 가. 국제통상질서 편입 준비단계(1991~2001년) 나. 글로벌 경제체계 편입단계(2002~06년): FTA 구축 기반 조성 다. FTA 전략 본격 추진단계(2007~12년) 라. FTA 체결 가속화 및 고도화 단계(2013년~현재): 높은 수준의 FTA 체결 3. FTA 전략의 핵심 이슈 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FTA 네트워크 구축 나. 한·중·일 FTA, RCEP와 동아시아 지역경제 통합 4. 중국 FTA 전략의 과제와 향후 전망 가. 기체결 FTA 평가 나. 시진핑 2기의 FTA 전략 전망 참고문헌 제7장 미·중 경제관계 변화와 주요 통상현안 1. 시기별 경제·통상관계 변화와 현황 가. 시기별 미·중 경제관계 개관 나. 미·중 경제협력 현황 2. 양국간 주요 통상현안 가. 위안화 환율조작국 지정 문제 나. 불공정 무역행위 제재를 둘러싼 통상분쟁 다. 시장경제지위 문제 라. WTO 관련 이슈 3. 평가 및 전망 가. 평가 나. 통상현안에 대한 미·중의 시각 차이 다. 향후 미·중 통상분쟁의 변화 가능성 참고문헌 제8장 시진핑 2기의 대외개방정책과 한·중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1. 중국의 대외개방 과정에서 한국의 위상 평가 가. 한·중 경제협력의 발전 과정 나. 중국의 대외경제협력에서 한국의 위상 2. 시진핑 2기의 대외개방정책 가. 대외개방정책 추진 목표: 개방형 경제 신체제 구축 나. 분야별 중점 대외개방 과제 3. 중국의 대외개방 전략 변화와 우리의 대응과제 가. 중국의 개방형 경제 신체제의 리스크 나. 중국의 지역개방정책 변화와 시사점 다. 중국의 외국인투자 정책 변화와 시사점 라. 중국의 해외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마. 중국의 FTA 추진 전략과 한·중 FTA 바. 미·중 통상관계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 강화 참고문헌 부 록 중국 대외개방의 주요 연표(1978년 12월~2018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