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2-633Determinants of wind power industry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유럽 풍력산업의 발전요인과 한국의 정책과제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268 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2-633
- 원표제
- Determinants of wind power industry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61-265)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8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주요 내용
제2장 풍력발전의 특성과 성장요인 분석모형
1. 풍력발전산업 개요
2. 한국 풍력산업의 현황
(1) 한국 풍력산업 현황
(2) 한국 풍력산업이 직면한 주요 도전
3. 풍력산업 발전요인 분석모형
(1) 유럽 풍력산업 발전요인 분석의 주요 측면
(2) 풍력산업 발전요인 분석모형
제3장 유럽 풍력산업의 발전 현황
1. 유럽 풍력에너지 시장 현황과 국별 발전패턴
(1) 유럽 에너지 믹스에서 신재생에너지
(2) 유럽 풍력산업의 국별 발전패턴
2. 유럽 신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1) 유럽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
(2) EU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요약
3. 산업과 기업
(1) 터빈 기업
(2) 부품 공급망
(3) 운영/유지
(4) 해상풍력 기업 및 공급망
제4장 독일의 풍력산업 발전요인 분석
1. 독일 풍력산업 성장배경 분석
(1) 독일 풍력산업의 발전 현황
(2) 독일 풍력발전기의 규모 변화와 공급구조
2. 독일 풍력산업의 성공요인과 도전
(1) 풍력산업 발전의 기술적·인적 기반
(2) 독일 풍력산업 발전의 정치·사회적 배경
(3) 무역보험제도에 의한 풍력산업의 해외진출 지원
(4) 풍력발전의 산업클러스터 조성
(5) 해상풍력의 난제들
제5장 덴마크 풍력산업의 발전요인 분석
1. 덴마크 풍력산업의 발전 현황
(1) 덴마크 풍력발전 동향
(2) 주요 업체
2. 덴마크의 풍력산업 지원정책 현황
(1) 덴마크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2) 무역보험제도에 의한 풍력산업의 해외진출 촉진
(3) 덴마크 “녹색섬 프로젝트”
제6장 영국의 풍력산업 발전요인 분석
1. 영국의 풍력산업 현황
(1) 영국의 풍력발전 설치 추이와 현황
(2) 영국의 풍력발전 단지 현황
(3) 영국의 풍력발전 관련 기업 현황
2. 영국의 풍력산업 육성정책
(1) 영국의 풍력발전 계획
(2) 영국의 풍력산업 육성정책
제7장 프랑스 풍력산업 발전요인 분석
1. 프랑스 풍력산업 현황
(1) 풍력발전 시장
(2) 산업, 기업
2. 정부의 정책과 쟁점
(1) 풍력산업 지원 정책
(2) 풍력산업 육성 정책의 쟁점
제8장 한국 풍력산업 발전방안
1. 유럽 풍력산업의 정책적 시사점
(1) 국별 풍력산업 현황 비교
(2) 정책적 시사점
2. 한국의 풍력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1) 에너지정책과 산업정책의 조화
(2) 풍력발전산업의 도약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
(3) 기업육성정책을 통한 풍력산업 발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