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2-03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2.5 in Korea I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 평가 및 관리정책 연구 I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형태사항
191 p. 도표(일부채색) 26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2-03
서지주기
참고문헌(p.177-18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41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41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PM2.5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시계열 분석 1. PM2.5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성기전 가. 입경에 따른 먼지의 성분 나. PM2.5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독성 다. PM2.5의 생성기전 및 발생원 2. 일반대기오염물질과 기상인자의 시계열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가. 기상현황 나. 일반대기오염물질의 시계열 분석 다.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인자 상호 간의 상관관계분석 3. PM2.5 주요성분의 특성 가. 탄소성분 나. 이온성분 농도 다. 금속성분 농도 라. 다환방향족탄화수소 4. 황사의 영향 가. 황사 사례 시 기상상태 나. 황사/비황사 사례 시 일반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및 일변화 특성 다. 황사/비황사 사례 시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인자 사이의 상관관계 5. 황사/비황사 사례 시 미세먼지 중 화학적 조성 제3장 PM2.5의 건강영향 평가 및 건강편익 산정| 1. 관련 선행 연구 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에 의한 건강영향 나. 대기오염농도 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추정 2. 건강영향 분석 자료 및 통계 분석 방법 가. 분석 범위 및 분석 자료 나.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분석 방법 다. BenMAP을 이용한 건강영향의 추정 3. 연구결과 가. 기본 자료에 대한 분석 나. 미세먼지 농도 증가로 인한 사망영향 다.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로 인한 사망영향 라. 대기오염 농도 개선에 따른 건강영향 추정 제4장 PM2.5의 배출량 추정 및 관리정책 로드맵 1. PM2.5 배출량 추정 가. 배출량 산정방법 2. PM2.5 배출량 산정 결과 가. 중분류별 배출량 결과 나. 소분류별 PM2.5 배출량 결과 다. 배출량 산정 결과에 대한 검토 3. 기존 배출량 자료와의 비교 가. 총 PM2.5 배출량 비교 나. 대분류별 PM2.5 배출량 비교 다. 중분류별 PM2.5 배출량 비교 라. 소분류별 PM2.5 배출량 비교 4. PM2.5 관리 정책 미국 사례 가. 뉴욕 주(州) 나. 남가좌 주(州) 5. 국내 관리정책 로드맵(사업장을 중심으로) 가. 정책방향 결정을 위한 고려 요소 나. PM2.5 관리 전략 다. 추진 과제 및 로드맵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