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2-648A study on the spillover effect between productivities of SME and large firms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46 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2-648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32-139)수록
- 주제명
- 중소기업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29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29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기업 간 생산성격차 발생요인
(1) 생산성의 정의 및 특징
(2) 생산성격차 발생요인 : 내부적 요인
(3) 생산성격차 발생요인 : 외부적 요인
(4) 의미
3. 연구목적 및 주요 연구내용
제2장 대·중소기업 생산성과 중소기업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1. 대·중소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과 수준
(1) 총요소생산성 측정방법
(2) 대·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3) 대·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및 총요소생산성 수준
2. 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결정요인 분석
(1) 연구목적 및 기존 연구
(2) 분석방법
(3) 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결정요인 분석결과
3. 정리 및 정책적 시사점
제3장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1. 선행 연구 및 연구 목적
2. 데이터
(1) 총요소생산성
(2) 노동 및 자본스톡
(3) 연구개발스톡
(4) 산업연관표
3. 모형 및 분석방법
(1) 선행연구의 모형
(2) 실증분석 기본모형
(3) 분석방법
4. 실증분석 결과
5. 정리 및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생산성 동반증진을 위한 정책의 방향과 과제
1. 실증분석 결과의 의미
2.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파급을 위한 지원 정책
(1) 협의의 개념: 생산현장에서의 생산성 향상
(2) 광의의 개념: 연구개발 협력 프로그램
3. 향후 정책방향
(1) 보상체계 강화
(2) 지적재산 보호 강화
(3) 사회적 환경조성
(4) 추가적 고려사항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