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물안보체제 구축KEI-a 녹색성장연구 2012-08Risk Management Policy for Water Security in an Changing Climate
기후변화 대응 물안보 위기관리 정책 연구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86 p. 삽화 도표(일부채색) 26cm
- 총서사항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물안보체제 구축 KEI-a 녹색성장연구 2012-0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63-17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3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가. 물안보의 중요성
나. 물안보 위기
2. 연구 목표
3.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용어 정의
나. 연구 범위
다. 연구 내용
라. 연구 방법
제2장 물안보 위기 시나리오의 구성
1. 물안보 위협인자의 분석
가. 자연재해
나. 기후변화
다. 인위적 · 기술적 위협
2. 물안보 위기 시나리오의 구성
가. 기후변화에 의한 극대 홍수
나. 기후변화에 의한 극대 가뭄
다. 사고 · 재난에 의한 물공급 중단
제3장 물안보 위기 발생 가능성 및 파급 영향
1. 기후변화에 따른 극대 홍수 위기
가.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기후 전망
나. 목표기간별 확률강우량의 산정
다. 유출모형 구축 및 극대 홍수량 산정
라. 한강 하류 구간의 극한 홍수위 분석
2. 기후변화에 따른 극대 가뭄 위기
가.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나. 한강유역의 미래 물 부족량 모의 다. ‘1인당 물 사용량’에 근거한 최대 가뭄 시 생활용수 위험도 평가
3. 재난 · 사고에 의한 물공급 위기
가. 조류 등 수질오염으로 인한 물공급 위협
나. 재난에 의한 물공급 중단
제4장 물안보 위기관리 정책의 구성
1. 현행 물관리 정책의 검토
가. 홍수·가뭄 관련 정책
나. 오염사고 등에 대비한 물공급 안정성 확보 정책
다. 기존 정책의 의의 및 한계
2. 물안보 위기관리 개념의 도입
가. 물안보 위기관리의 필요성
나. 물안보 위기관리 개념의 도입
3. 물안보 위기관리 방안의 구성
가. 극대 홍수 위기관리 방안
나. 극대 가뭄 위기관리 방안
다. 사고·재난에 의한 물공급 중단 대응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