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7-844Assess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Policies on Environment-friendly Vehicles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평가와 개편방향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207 p. 도표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7-84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01-204) 수록
- 키워드
- 자동차, Automobile, Automotive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79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7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및 추진 방향
(2) 연구 방법
제2장 국내외 친환경자동차의 발전방향과 목표
1. 환경 규제 강화와 친환경자동차의 발전 가능성
(1) 세계적 환경 규제 강화와 친환경자동차
(2) 친환경자동차 보급확대를 위한 중국의 환경 규제 정책 사례
(3) 주요국의 친환경자동차 구매 인센티브
2. 세계 친환경자동차의 판매동향과 향후 전망
(1) 주요국별 친환경자동차 판매동향
(2) 친환경자동차의 주요국 보급목표와 세계 시장 전망
(3) 친환경자동차의 기업 간 경쟁구조
3. 친환경자동차의 부문별 발전방향
(1) 친환경자동차의 친환경성
(2) 친환경자동차의 기술적 문제 해결 가능성
(3) 친환경자동차의 차종별 비교 및 평가
4. 친환경자동차 관련 국내 여건과 발전목표
(1) 국내 친환경자동차 보급현황
(2) 국내 친환경자동차 개발·생산 현황 및 경쟁력
(3) 우리 친환경자동차의 발전방향
제3장 국내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현황과 평가
1.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체계와 종합발전계획의 변화 추이
(1)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추진 체계와 연역
(2) 환경친화 자동차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종합계획
2. 친환경자동차 관련분야별 주요정책
(1) 환경 규제 정책
(2) 친환경자동차 보조금 제도
(3) 친환경자동차 판매 및 보급목표
(4) 친환경자동차 관련 R&D 지원정책
3. 지역별 친환경자동차 주요정책 현황
(1) 지역별 친환경자동차 보급지원정책
(2) 지역별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사업
(3) 친환경자동차 관련 지역지원사업 종합
4. 정책평가 및 시사점
(1) 정책에 대한 종합평가
(2)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친환경 목적과의 정합성 점검
(3)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산업발전 목적과의 정합성 점검
(4)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효율성평가
제4장 국내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추진방향
1. 환경개선 목표에 부합하는 친환경자동차 정책 추진
(1) 친환경자동차 관련 규제 정책의 기본방향
(2) 자동차 환경 규제 정책의 단순화 추진
(3) 친환경자동차 정책에 실질적인 친환경성 및 에너지구조 등 고려
(4) 지역 및 계층 등의 특성에 맞는 보급모델 개발
2.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선도하는 친환경자동차 정책
(1) 친환경자동차 보급보다 경쟁력 있는 자동차 및 부품 개발에 초점
(2) 보급사업 추진에서 산업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조치 확보
(3) 수소연료 전지자동차의 보급을 보다 강화
(4) 친환경자동차 관련사업 및 벤처형 친환경자동차 생산업체 육성
(5) 친환경자동차의 수출산업화 추진
3.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효율적 추진 체계 구축
(1)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종합 컨트롤 타워 설치 및 정책 간 연계성 강화
(2) 지역 친환경자동차 산업 육성정책의 효율화 추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