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PA 연구보고서 2019-03Enhancing Data-Driven Public Administration : Focused on Public Data Integration

데이터기반행정 강화 방안 연구: 공공데이터 융합(integration)을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19
형태사항
374 p. 도표 그래프 25 cm
총서사항
KIPA 연구보고서 2019-03
서지주기
참고문헌(p.266-280) 수록
주제명
정부혁신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568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568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윤건]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윤건] 제1절 데이터기반행정의 의의 1. 데이터기반행정의 개념 2. 데이터기반행정의 맥락 3. 데이터기반행정의 이슈 제2절 공공데이터 융합 관련 선행연구 분석 1. 공공데이터 융합의 개념 2. 공공데이터 융합의 이슈 검토 3. 공공데이터 융합 관련 제도 현황 분석 4. 공공데이터 융합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함의 제3절 연구 분석틀 제3장 정책분야별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연구 [윤건] 제1절 개요 제2절 정책분야별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데이터 분석 1. 분석 범위 및 방법 2. 분석 결과 제3절 정책분야별 주요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분석 1. 분석 개요 2. 총괄조정 분야 사례 3. 문화 분야 사례 4. 환경 분야 사례 5. 복지 분야 사례 6. 고용 분야 사례 제4절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한 공공데이터 융합 제약조건 탐색 1. 심층면접 개요 2. 제도 측면의 제약요인 3. 역량 측면의 제약요인 4. 기술 측면의 제약요인 제4장 데이터기반행정 및 공공데이터 융합 해외사례분석 [김윤희] 제1절 미국 사례 분석 1. 미국 데이터기반행정의 맥락 2. 미국 데이터기반행정과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제2절 영국 사례 분석 1. 영국 데이터기반행정맥락 2. 영국 데이터기반행정과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제3절 스웨덴 사례 분석 1. 스웨덴 데이터기반행정의 맥락 2. 스웨덴 데이터기반행정과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제4절 네덜란드 사례 분석 1. 네덜란드 데이터기반행정의 맥락 2. 네덜란드 데이터기반행정과 공공데이터 융합 사례 제5절 해외사례 분석의 시사점 제5장 공공데이터 융합 제약조건과 관계 분석 [윤건] 제1절 설문조사 개요 제2절 데이터기반행정과 공공데이터 융합 실태 1. 데이터기반행정 실태 2. 공공데이터 융합 실태 제3절 공공데이터 융합 수준 및 제약조건 분석 1. 변수의 측정 2. 데이터기반행정 및 공공데이터 융합 수준 3. 공공데이터 융합 제약조건 분석 제4절 공공데이터 융합 관계 분석 1. 공공데이터 융합 제약조건과 공공데이터 융합 간 관계 2. 공공데이터 융합의 매개효과 분석 제6장 공공데이터 융합 활성화 방안 [윤건] 제1절 개요 제2절 제도 측면 활성화 방안 1. 공공데이터 확보를 위한 근거규정의 신설 2. 공공데이터 융합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개선 3. 개인정보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제3절 역량 측면 활성화 방안 1. 데이터 전문인력의 확보 2. 데이터 교육 강화를 통한 공무원의 데이터 역량 제고 3. 데이터를 중시하는 조직문화의 형성 제4절 기술 측면 활성화 방안 1. 데이터센터 활성화 2. 데이터 표준화 3. 데이터 품질관리 제5절 공공데이터 융합 활성화 실행전략 1. 공공데이터 융합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실행전략의 수립 2. 공공데이터 융합 활성화 대안의 실현가능성 평가 3. 대안 간 우선순위 분석 제7장 요약 및 결론 [윤건]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