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AURI 기본 2017-11A Research of the Vulnerability Diagnosis Method for Buildings on New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genda

신 기후체제 대비 건축물 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연구

발행사항
세종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형태사항
128 p. 도표 지도 27cm
총서사항
AURI 기본 2017-11
서지주기
참고문헌(p.113-119)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477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47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7 2. 연구범위 및 방법 9 1) 연구범위 9 2) 연구방법 : 산·학·연간 협동연구 수행 10 3) 연구수행과정 14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5 1) 기후변화 적응관련 연구 및 본 연구와 차별성 15 2) 취약성 분석관련 연구 및 본 연구와 차별성 16 제2장 기후변화 적응 정책·연구동향 21 1. 기후변화 적응 정책 동향 21 1) 파리협정에 따른 기후변화 정책 변화 21 2) 기후변화 적응정책 해외 동향 22 3) 국내 기후변화 적응분야 정책 동향 31 2.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진단 연구동향 35 1) 해외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연구동향 35 2) 국내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모형 40 3. 기후변화 적응정책·취약성 분석에 관한 시사점 48 1)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 정책동향과 시사점 48 2)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관련 모형연구와 시사점 50 3) 건축물 분야의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모형연구의 방향성 51 제3장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체계 정립 53 1.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고려한 현황진단의 방향 53 1)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취약성 진단 방법론의 재구성 53 2) 취약성 진단의 조건 정립 55 3) 종합 61 2. 재해 위험성 진단을 위한 공간분석 체계 62 1) 지표수 침수피해 위험 건축물 분석 체계 62 2)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유의성 검증체계 68 3. 재해 위험성 진단 활용 건축물 관련 변수 결정 70 1) 재해 위험성 진단용 변수 선정 70 2) 재해 위험성 진단을 위한 공간정보변수 72 제4장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및 취약성 진단 적용 75 1.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논리구조 75 1)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정제 75 2) 건축물 재해 위험성 진단의 논리구조 79 2.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83 1) 건축물 재해 위험성 진단에 적용된 공간 변수의 특징 83 2) 최소자승법을 사용한 공간회귀방정식 결과 87 3) 공간패턴 분석과정을 통한 취약성 진단결과 89 3.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결과 해석 93 1) 독립변수의 데이터 특성을 통한 진단 모형 검증 93 2)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결과의 공간 해상력 96 3) 웹 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한 활용방안 97 4. 건축물 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적용관련 정책적 함의 101 1) 건축물 재해위험성 분석 결과의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에 적용 101 2) 건축물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건축기준에 적용 104 3) 신 기후체제 대응 건축물분야 기후변화 적응정책에 활용 106 제5장 결론 109 1. 연구와 정책적 의의 109 1) 연구의 종합적 의의 109 2) 정책적 의의 110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11 참고문헌 113 SUMMARY 121 부 록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