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09-22
한국의 대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 방향
- 단체저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 형태사항
- 256p. 삽도 24cm
- 총서사항
- KIEP 연구보고서 09-22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41)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1979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1979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범위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2장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사회의 특징
1. 아프리카 농업‧농촌 개발의 의미
2. 아프리카 농업 현황 및 특징
가. 농업 개황
나. 영농체계(Farming System)
다. 농업개발 정책
3. 아프리카 농촌사회의 특징
가. 부족 중심의 소규모 마을 형성
나. 공동체 토지소유제
다. 비체계적인 농업지원 조직
라. 마을공동체 단위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축적
4. 아프리카 농업 저개발의 원인
가. 자연환경적 요인
나. 경제‧산업적 요인
다. 금융자본(financial capital) 요인
라. 인적 자본(Human Capital) 부재
마.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부재
바. 대외적 요인
제3장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협력
1. 시대별 아프리카 농촌개발 접근방식
가. 1950년대: 지역개발
나. 1960~70년대: 농촌종합개발
다. 1980~90년대: 주민참여형 개발
라. 2000년대: PRSP와 MDGs
2. 주요 공여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정책 및 현황
가. 영국
나. 일본
다. 미국
라. 비교 평가 및 시사점
3.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프로젝트: MVP 사례
가. MVP 개요
나. MVP 추진 체계 및 사업 내용
제4장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경험 및 아프리카 지원 현황
1.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경험
가. 농지개혁을 통한 농업기반 정비
나. 식량문제 해결
다. 농촌지역 개발
라. 농외소득과 농촌공업화
2. 농업협력사업의 유망 분야
가. 품종 육종 기술
나. 농업생산 기술
다. 농업정책
3.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지원 현황
가. 한국의 아프리카 원조
나.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원조
다. 평가
제5장 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의 중점추진 분야
1. 분석내용 요약 및 향후 정책방향
2. 농촌개발: 새마을운동 경험 전수
가. 농촌개발협력 수단으로서의 새마을운동: 전수 의의
나.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및 전제조건
다. 새마을운동 전수 접근방식
3. 농업개발: 농업생산기술 및 농업 인프라 지원
가. 농업개발 협력 추진 방향
나. 농업생산기술 전수
다. 농업 인프라 구축 지원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