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11-07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경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대외경제정책 방향

저자
박복영
발행사항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2책 도표 24cm
총서사항
KIEP 연구보고서 11-07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650대출가능-
자료실P42165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65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6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1권]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1부 위기의 조망 제2장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공황 금융위기의 비교 1. 머리말 2. 현재의 금융위기 3. 대공황 시기 금융위기 4. 두 금융위기의 비교와 교훈 5. 맺음말 참고문헌 제3장 글로벌 불균형의 원인과 전망: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시각 1. 서론 2. 글로벌 불균형 추이 3. 글로벌 불균형의 원인 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불균형에 대한 평가 5.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2부 글로벌체제의 변화 제4장 G20의 등장과 글로벌 거버넌스의 변화 1. G20 정상회의 개요 2. G20 정상회의 등장과 글로벌 금융위기 3. 글로벌 거버넌스로서의 G20 4. G20의 향후 과제 및 전망 5. G20 내 한국의 역할과 전략방향 참고문헌 제5장 금융의 거시건전성 강화와 그 영향 1. 서론 2.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과 개요 3. 거시건전성 정책의 의미와 주요국의 전개과정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6장 국제기후변화 규범의 변화 1. 서론 2. 기후변화협상 구도의 변화 3. 기후변화협상 쟁점의 이동 4. 기후변화규범과 무역규범 간 조화와 갈등 5.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7장 미ㆍ중 공동제휴시대의 도래와 한국의 전략 1. 머리말 2. 미ㆍ중관계의 변화추세 분석 라. 2011년 미ㆍ중 정상회담의 개최와 의의 3. 미ㆍ중관계의 장래와 정책적 함의 4. 한국 외교의 이론적 지향점 Executive Summary [2권] 서언 국문요약 제3부 선진국 경제의 변화 제8장 유럽의 지역통합: 위기와 개혁의 정치경제 1. 머리말 2. EU과 금융위기 3. 국가별 금융위기의 영향 4. 재정위기와 EU 경제 거버넌스의 재편 5. 유럽의 미래 6. 한국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9장 선진국 재정건전화정책의 전망과 경제적 효과 1. 서론 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가채무 문제의 대두 3. 재정건전화 방안 및 향후 전망 4. 미국과 유로지역 재정건전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5.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소득불평등의 심화와 정책적 함의 1. 서론 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득불평등의 변화 양상 3. 주요 선진국의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분배구조의 변화 전망 4. 위기가 미칠 영향에 대한 전망 5.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제4부 신흥국 경제의 변화 제11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경제권의 변화 1. 서론 2. 신흥경제권과 2007~08년 글로벌 금융위기 3.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디커플링 4. 신흥경제가 직면한 문제들 5.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질서의 변화 6. 결론 참고문헌 제12장 에너지ㆍ식량문제와 신흥시장의 정치적 위험 1. 서론 2. 금융위기와 신흥시장의 정치적 위험 3. 에너지 문제와 신흥시장의 정치적 위험 4. 식량 문제와 신흥시장의 정치적 위험 5. 에너지ㆍ식량 관련 정치적 위험과 정책적 고려사항 참고문헌 제13장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와 동아시아 지역통합 1. 서론 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통상질서의 변화 3. 동아시아 지역통합 추진 현황 4.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전환과 한국의 대응 참고문헌 제14장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에 대한 시사점 1. 국제경제환경 전망 2. 한국 대외경제정책에 대한 함의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