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LRI 녹색성장연구 12-23-9A study on legislation regarding the linking of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국제탄소시장 연계에 대비한 법제 연구
- 발행사항
-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280 p. 25cm
- 총서사항
- KLRI 녹색성장연구 12-23-9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53-257)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23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23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한국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내용
1.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배경
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법과 동법 시행령의 주요내용
The greenhouse gases emission trading system in South Korea- Its major contents
1. Background to the adoption of the greenhouse gases emission trading system("ETS")
2. The Act on the Allocation and Trading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llowances and its presidential decree- major contents
제2장 뉴질랜드 배출권 거래제의 주요 내용
1. 배경
2. 적용 범위
3. 면허공급(경매 포함)
4. 가격 규제
5. 감시와 신고, 검증[및 준수]
6. 단위의 금융/차용
7. 국제 연계
New Zealand Emissions Trading Scheme
1. Context
2. Sectoral coverage
3. Permit supply(including auctioning)
4. Price controls
5. Monito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and compliance]
6. Banking/borrowing of units
7. International links
제3장 한국과 뉴질랜드 배출권 거래제의 비교 분석
1.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2. 계획기간
3.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의 수립
4. 배출권 거래제 적용대상
5. 배출권의 할당
6. MㆍRㆍV
7. 조기감축실적의 인정
8. 할당의 조정
9. 배출권 거래제 참여 주체
10. 시장안정화 조치
11. 이월과 차입
12. 상쇄
13. 배출권 미제출시의 벌칙
14. 국제탄소시장과의 연계
Comparison of the major contents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s of South Korea and New Zealand
1. Establishment of a basic plan for the ETS
2. Plan period
3. Establishment of national emission allowances allocation plan
4. Sectors subject to the ETS
5. Allocation of emission allowances
6. MㆍRㆍV
7. Recognition of the outcomes of earlier reduction
8. Allocation adjustment
9. key actors participating in ETS
10. Market stabilization measures
11. Carryover and borrowing
12. Offset
13. Penalty against non-submittal of CERs
14. Linkage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ket
▣ 제 2차
탄소시장 현황 및 국제연계 가능성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연구
1. 서론
2. 우리나라와 해외의 배출권거래제도 현황
3. 분석모형
4. 감축시나리오
5. 연계 시나리오
6. 분석결과
7.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모형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