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2-09River Manag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류하천 관리 및 수생태 복원방향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55 p. 삽화도표지도(일부채색) 26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2-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1-134)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4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4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가. 내용적 범위
나. 시·공간적 범위
3. 연구의 구성 및 방법
제2장 낙동강 유역 지류하천 현황
1. 대상 유역 개요
가. 유역의 특성
나. 지류하천 현황
다. 토지피복변화 및 침수실적
2. 기후변화와 하천 시설물에 의한 수생태계 영향
가. 기후변화와 수생태계
나. 하천 시설물과 수생태계
제3장 생태하천 복원을 위한 취약구간 평가 및 관리 방향
1. 기후변화 취약구간 선정 기준 설정
가. SWAT 모형을 이용한 물리 요소 분석
나. 수질 평가 항목 설정 및 분석
다. 수생태 평가 항목 설정 및 분석
2. 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 서식처 영향 분석
가. 낙동강 유역 내 수온 및 어류 측정지점
나. 장래 수온변화 예측
다. 어류 최대내성한계온도
라. 기후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영향 분석
3.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구간 평가
가. 물리적 요소
나. 화학적 요소
다. 생물학적 요소 라. 종합 평가
4. 생태하천 복원 및 관리 방향
가. 유출 저감 방안
나. 유사량 저감 방안
다. 갈수기 유량확보 방안
라. 수질 관리 방안
마. 수생태계 관리 방안
제4장 수생태건강성 분석을 통한 생태하천 복원사업 평가
1.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생태하천 복원사업
가. 국내의 하천환경 개선사업
나. 생태하천 복원 관련 부처별 사업
다. 수생태건강성 조사 및 평가 분석
라. 낙동강 유역의 생태하천 복원사업
2. 생태하천 복원사업 완료지점 평가
가. 평가지점 선정
나. 평가 결과 및 하천 복원 방향
다. 평가의 한계점
제5장 생태하천 복원사업 발전 방안
1. 지자체 생태하천 복원 담당자 면담
가. 면담 개요
나. 면담 주요 내용
2. 생태하천 복원사업 용역 업체 의식조사
가. 설문조사 개요
나. 문항별 조사 결과
3. 시사점 및 개선 방안
가. 사업 대상지 선정 기준 필요
나. 수생태 모니터링 결과 제시 의무화
다. 유지관리 지침 및 예산 지원 제도
라. 거버넌스체계 구축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부록
<부록 1> 업체 의식조사 설문조사지
<부록 2> 댐 하류하천 수온 및 어류생태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