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KEI-a 녹색성장연구 11-02-85(3)2011-11Sustainable spatial river planning for climate change Ⅲ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Ⅲ
- 저자
- 강형식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49p. 채색삽도도표.지도 26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 KEI-a 녹색성장연구 11-02-85(3) 2011-1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33-134)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42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42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1, 2차연도 주요 연구 결과
가. 1차연도 주요 연구 결과
나. 2차연도 주요 연구 결과
3. 3차연도 연구의 목적
4. 3차연도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공간적 범위
나. 내용적 범위
제2장 극한홍수 사례 및 저감방안 조사
1. 극한홍수 관련용어의 정의
2. 국내외 극한홍수 사례
가. 국내 극한홍수 사례
나. 해외 극한홍수 사례
3. 극한홍수 관련 저감방안 분석
제3장 하천공간 확보 가능지점 분석
1. 낙동강 유역의 하천공간 일반 현황
가. 지리 · 지형 현황
나. 인문 · 사회 현황
다. 하천정비 현황 라. 환경 · 생태 현황
마. 역사 · 문화 · 관광 현황
바. 낙동강 하천공간의 현황 종합 고찰
2. 낙동강 유역의 하천공간 확보 가능지점 선정
가. 강변저류지
나. 농경지 저류지 다. 최종 하천공간 확보 검토지 선정
제4장 하천공간 확보에 따른 극한홍수 방어효과
1. 모형의 구축
2. 4대강 사업 전 · 후 수위변화 분석
3. 극한홍수 발생 시 위험지구 분석 가. 극한홍수
나. 위험구간 분석 다. 위험구간에서 제방붕괴에 따른 범람분석
4. 강변저류지에 의한 수위저감 효과 분석
제5장 보전지역권을 활용한 하천공간 확보 방안
1. 보전지역권
가. 보전지역권의 개념
나. 보전지역권과 다른 토지확보 방안의 비교
2. 보전지역권 설정에 관한 세부 사항
가. 보전지역권 설정 절차
나. 보전지역권 설정의 경제적 효과
3. 강변저류지 설치에 따른 비용 산정 및 분석
4.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보전지역권의 국내 적용 방안
5. 하천공간 확보에 관한 주민의식 조사
가. 설문조사 개요 나. 문항별 조사결과
다. 시사점
제6장 생태·문화적 하천공간의 유형화 및 적용
1. 생태 및 문화적 측면의 하천공간의 유형 설정
가. 하천지구의 기존 구분 유형
나. 하천공간의 조성 및 관리유형 설정
2. 낙동강 하천공간의 생태 및 문화적 유형 분류
가. 하천공간의 유형 적용 방안
나. 낙동강 하천공간의 유형 적용 결과
제7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