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3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발 간 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 방법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5. 주요 연구내용
제2장 KTX 네트워크 현황 및 국토공간구조 변화 전망
1. KTX 네트워크 현황 및 전망
1) KTX 경부선 2단계 개통까지의 연혁
2) KTX 네트워크 현황 및 전망
2. KTX 주요 정차역 이용 현황 및 전망
1) 주요 정차역 이용현황
2) 수요 전망
3) 수송분담 변화
3. KTX 개통으로 인한 도시 및 국토공간구조 변화 전망
1) KTX가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
2) KTX가 광역권 및 국토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제3장 외국 고속철도역세권 개발사례 및 정책적 시사점
1. 일본 신칸센 역세권 개발사례
1) 신칸센 현황과 개통 효과
2) 주요 역세권 개발사례
2. 프랑스 TGV 역세권 개발사례
1) TGV 현황과 개통 효과
2) 주요 역세권 개발사례
3. 독일 ICE 역세권 개발사례
1) ICE 현황 및 개통 효과
2) 주요 역세권 개발사례
4. 정책적 시사점
제4장 KTX를 활용한 국토재창조 방안
1. 지역특화자원의 발굴 및 연계
1) 기본방향
2) 지역특화자원 연계 및 특화 비즈니스서비스산업 발굴
2. 적정규모의 역세권 개발 및 기능분담
3. 정부정책 지원 및 주체간 역할 분담
1) 정부정책 지원방향
2) 주체간 역할 분담
제5장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기대효과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