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5-10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inaccessible terrain : focused on construction of land cover map
북한 환경정보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I): 토지피복지도 구축을 중심으로
- 저자
- 정휘철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150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5-10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45-147)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91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9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원격탐사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이론적 배경
가. 토지피복분류의 정의 및 목적
나. 토지피복분류체계
다. 원격탐사 영상자료의 특성 및 주요 위성
라. 토지피복분류방법
마. 정확도 검증 방법
2.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구축 현황
가. 구축 목적
나. 주요 추진경과 및 분류체계
다. 제작 방법
3. 토지피복지도 활용사례
가. 자연환경관리
나. 도시분야 활용
다. 산사태분야에서의 활용
라. 비점오염원관리 활용
마. 대기질오염관리 활용
4. 접근불능지역의 토지피복지도 구축사례
가. 환경분야
나. 도시분야
다. 산림분야
라. 농업분야
마. 접근불능지역 연구 특성 검토
제3장 접근불능지역의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설정 및 구축 방법론
1. 개요
2. 분류체계(안) 설정
3. 분류체계별 구축방안
가. 기존 연구(2009년)와 구축방안 비교
나. 분류항목별 정의 및 분류기준 개선(안)
제4장 접근불능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시범 구축
1. 연구대상지역
가. 대상지역 선정기준
나. 시범 구축지역(개성시)의 일반현황
다. 시범 구축지역(개성시)의 특징
2. 연구 자료 및 방법
가. 위성영상 선정
나. 활용 자료
다. 분류 방법별 절차 및 내용
3. 결과
가. 영상분석을 통한 시범 구축 결과
나. 육안판독을 통한 시범 구축 결과
다. 정확도 검증 결과
라. 결과물 비교분석
마. 1단계 토지피복지도 구축 소요예산(추정)
제5장 결론 및 발전방안
1. 연구요약
2. 발전방안
가. 환경 관련 분야 협의체 구성을 통한 협력방안 마련
나. 단계별 협력방안 구축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