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AURI 기본연구보고서 2022-05A study on spatial planning model of living area unit for carbon-neutral 2050

탄소중립 2050 실현을 위한 생활권 단위 공간계획 모형 연구

발행사항
세종 건축공간연구원 2022
형태사항
xiii 194 p 도표 27cm
총서사항
AURI 기본연구보고서 2022-05
서지주기
참고문헌(p.181-188)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726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726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 수행 과정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검토 2) 선행연구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생활권 관련 탄소중립 개념 및 정책 1. 탄소중립 관련 개념 및 정책 1) 탄소중립 개념과 시나리오 2) 탄소중립 관련 국가 정책 3) 도시공간에서의 탄소중립을 위한 방법과 전략 4) 「도시·군기본계획수립지침」에서의 탄소중립 계획 방향 2. 시나리오형 계획 기법에 대한 개념과 이론 1) 시나리오형 계획 기법의 개념 2) 도시계획 분야 시나리오형 계획 기법 적용 사례 3. 생활권 단위 탄소중립 공간계획의 필요성과 방향 1) 생활권의 개념 및 공간규모별 탄소중립 계획 2) 생활권 단위에서의 탄소중립 공간계획 필요성 제3장 생활권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 및 계획요소 도출 1. 생활권 단위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 1) 생활권 공간에서의 탄소배출 인벤토리 조사 2) 생활권 탄소배출 범주 및 단계 설정 3) 생활권 단위 탄소중립 인벤토리 구축 2. 생활권 탄소배출·흡수량 산정방법 1) 생활권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산식 및 계수 검토 2)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계산식 및 모형 검토 3) 생활권 탄소배출·흡수량 산정 계수 및 배출량 산정방법 도출 3. 생활권 탄소중립 공간계획 요소 도출 1) 부문별 생활권 탄소중립 계획요소 검토 2) 탄소중립 생활권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제4장 생활권 탄소중립 공간계획 모형 개발 1. 생활권 탄소중립 공간계획 기본 모형 개발 1) 생활권 기본 모형 개발을 위한 검토 2) 모형 작성을 위한 사례 검토 2. 탄소중립 공간계획 시나리오 및 모형 유형화 1) 계획요소 특성에 따른 공간계획 시나리오 작성 2) 계획요소 시나리오를 적용한 공간계획 모형 개발 3) 모형별 토지이용 및 계획요소의 정량적 통계 3. 탄소 배출량 산정 및 결과 해석 1) 배출량 산정을 위한 조건 및 계수 설정 2) 탄소 배출량 산정을 위한 계산식 3) 탄소 배출량 산정 결과 4) 결과 해석 및 논의 4. 탄소중립을 위한 생활권 공간계획 최적화 모형 1) 최적화 모형 개발 개요 및 산식 2) 최적화 모형 조건 3) 최적화 시나리오 설정 4) 최적화 모형 결과 제5장 결론 및 제언 1. 탄소중립을 위한 생활권 공간계획 수립 방향 1) 생활권 탄소중립을 위한 공간계획 수립 방향 2) 탄소중립 지구단위계획 도입 방향 제안 2. 연구의 한계 및 의의 1) 연구 한계 2) 연구의 의의 및 후속 과제 참고문헌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