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5-757Future Foresight based on Demand-side Approach and Policy Suggestions for Marke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수요측 접근의 미래유망산업 도출과 시장화·산업화 과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302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5-75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94-299)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99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99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주요 내용
(1) 연구의 주요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미래예측 관련 개념 정의
(3) 연구의 내용
제2장 미래예측과 생태계 시나리오
1. 미래예측 일반과 본 연구
(1) 일반적 미래예측 연구
(2) 미래연구 방법론상에서 본 연구의 특징
2. 비즈니스 관점의 미래 예측·전략 연구
(1) 기업들의 미래연구 배경과 활용
(2) 기업 관점 미래연구 방법론
(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3. 산업생태계의 개념 및 분석사례
(1) 산업생태계의 개념 및 구조
(2) Fransman의 산업생태계
(3) 산업생태계 분석사례
4. 시나리오 분석 방법론
(1) 미래 시나리오 작성 기법
(2) 시나리오 네트워크 매핑(SNM
(3) SNM을 활용한 산업생태계 분석사례
제3장 수요측 접근 미래유망산업 도출 방법론
1. 본 미래예측 방법론의 체계 및 특징
(1) 본 연구의 방법론적 조건과 특징
(2) 본 미래예측 연구의 방법론 체계
2. 수요측 접근 미래유망산업 도출 방법론
(1) 단계 1 : 분석대상 후보군 선정
(2) 단계 2 : 정태적 분석 - 미래산업 부문별 확장 산업생태계
(3) 단계 3 : 동태적 분석 - 산업생태계 시나리오
(4) 단계 4 :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수요측 접근 미래유망산업의 시장화ㆍ산업화 분석
1. 분석대상 후보군
2. 주요 미래산업의 확장 산업생태계
(1) 가상현실 산업
(2) 맞춤형웰니스케어 산업
(3) 지능형로봇 산업
(4) 스마트자동차 산업
3. 정량적 시나리오 분석과 미래유망산업
(1) 수요 결정요인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2) 수요 결정요인의 영향력·민감도 분석
(3) 수요 결정요인들의 발생가능성 : 미래 예상 및 현재 수준
(4) 수요 활성화도와 미래유망 순위 및 각 시나리오
(5) Backcasting과 형태학적 경로
제5장 미래산업의 시장화ㆍ산업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1. 미래산업 공통적 정책과제
(1) 미래유망도의 다중적 의미와 정책 선택
(2) 미래산업의 시장화·산업화를 위한 공통 정책 방향
2. 산업별 정책과제
(1) 가상현실 산업
(2) 맞춤형웰니스케어 산업
(3) 지능형로봇 산업
(4) 스마트자동차 산업
3.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