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독일통일 총서 25

이주 분야 관련 정책문서

발행사항
서울 통일부 2018
형태사항
304 p. 삽도 25 cm
총서사항
독일통일 총서 2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595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595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Ⅰ. 독일통일 이후 동서독 이주와 정책적 시사점 제1장 서론 12 제1절 이주 분야 총서 발간 배경 12 제2절 이주 분야 총서 발간 목적 13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 15 1. 연구의 내용 15 2. 연구의 범위 18 제2장 독일통일 이후 동독민 이주와 현황 19 제1절 개관 19 제2절 시기별 이주 현황 21 1. 분단기(1949~1988) 이주 현황 21 2. 국경 개방기(1989~1990) 이주 현황 23 3. 통일 이후(1991~2001) 이주 현황 26 제3절 공간별 이주 현황 28 1. 이주 유형별 28 2. 신연방주별 33 제4절 소결 61 제3장 신연방 주민 이주 원인과 배경 66 제1절 개관 66 제2절 국경 개방과 통일 시기(1989~1990) 67 제3절 통일 이후 이주-거시적 배경 72 1. 경제적 환경 72 2. 사회문화적 환경 80 제4절 소결 85 제4장 독일통일 이후 동독 주민의 이주 영향 89 제1절 신연방주의 인구 구조 변화 89 1. 외부적 요인: 이주로 인한 변화 및 특징 89 2. 내부적 요인: 이주 외적인 요인 95 제2절 이주로 인한 영향 98 1. 경제적 영향 98 2. 사회적 영향 101 제3절 정부의 대응 103 1. 연방정부 103 2. 주정부 106 제5장 한국에 주는 교훈과 시사점 112 제1절 독일의 경험 112 제2절 남북한 이주 현황 검토 115 1. 탈북 이주 구조 115 2. 이주 원인 116 3. 이주의 영향 118 4. 정부의 대응 119 제3절 통일 후 남북한 이주와 대응에의 시사점 120 1. 논의의 전제 120 2. 통일 후 이주 전망 121 3. 이주의 영향과 대응 123 제4절 시사점 125 Ⅱ. 정책문서를 통해 본 1989년 ‘대사관 난민’과 베를린 장벽의 붕괴 들어가며 132 제1장 동독에서 서독으로의 이주 134 제2장 1989년의 동독 이탈 물결 140 제1절 ‘대사관 난민’ 문제의 해결을 둘러싼 동서독 간의 기 싸움 140 제2절 헝가리 정부의 개혁정책과 국경 개방 149 제3절 프라하로 향하는 동독 이탈주민의 행렬 155 제4절 동독 국경의 폐쇄와 재개방 164 나가며 171 Ⅲ. 이주 분야 관련 정책 문서 문서 목록 176 문서 요약 196 문서 요약(문서번호 1~141)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