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9-918A Study on Policy Interactions between Cap-and-trade and RPS in the South Korean Power Sector
환경·에너지 정책 간 상호작용 분석: 전력산업을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118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9-91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9-112) 수록
- 주제명
- 환경경제학
- 키워드
- 에너지, 에너지정책, 환경정책, Energy, Energy Policy, Environmental Polic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556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55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전력산업에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와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력 도매시장을 모사하는 부분균형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동태모형(dynamic optimization model)으로서 각 기(period)에 발전소들이 설비투자를 통해 2018년부터 2030년까지의 13년간 발생할 비용의 현재 가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설비용량 및 발전량 등을 결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한국 전력 도매시장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주요 방법론 및 구성
제2장 환경ㆍ에너지 정책 간 상호작용 특성 및 정책 사례
1. 선행연구
2. 상호작용을 고려한 정책 논의
(1) Waxman-Markey Bill(H.R. 2454)
(2) California
3. 국내 정책 현황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3장 실증 분석을 위한 모형 개발
1. 선행연구
(1) ReEDS Model
(2) Haiku Model
(3) M-CORE
(4) 기존 모형과의 차별성
2. 국내 전력산업 모형화
(1) LP(Linear Programming) 모형
(2) 데이터
(3) 모형의 한계와 확장 가능성
제4장 실증 분석 결과
1. 기준균형(benchmark equilibrium)
2. 시나리오 분석
(1) 시나리오 설정 및 정책 간 상호작용의 정의
(2) 시나리오 분석 결과
(3) 상호작용 분석
제5장 결론
1. 주요 연구 결과 요약
2. 시사점
(1)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 및 에너지전환에 대한 발전산업의 대응전략
(2) 환경ㆍ에너지 정책적 시사점
3. 모형의 확장 및 활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