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1-601Policy tasks for enhancing innovation activities in Korea's service industries
서비스산업 혁신활동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209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1-6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94-198)수록
- 키워드
- Innovation, Rqqqamp;D, Service Industry, 연구개발, 기술혁신, 서비스, 서비스산업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64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64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추진체계
3. 기대효과
제2장 서비스산업 혁신활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혁신 및 혁신활동의 개념
2. 서비스산업의 특성과 혁신
3. 서비스산업 혁신에 대한 기존 연구
(1) 혁신관점에서의 서비스산업 분류
(2) 서비스산업에서의 혁신성과 분석
(3) 기존 연구에서의 시사점
제3장 한국 서비스산업의 현황과 혁신활동
1. 서비스산업의 일반 현황
2. 서비스산업에서의 혁신활동
(1) 혁신성과와 혁신활동
(2) 혁신활동의 애로요인
제4장 서비스산업 혁신지원정책
1.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정책
(1) 서비스사업 육성정책 개요
(2) 서비스혁신 지원사업
(3) 서비스 R&D 활성화 정책
2. 주요국의 서비스산업 혁신지원정책
(1) 핀란드
(2) 독일
(3) 일본
3. 비교 및 시사점
제5장 서비스산업 혁신활동과 경영성과 분석
1.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1) 연구 설계
(2) 분석 모형
(3) 분석 대상
(4) 변수의 설정
(5) 추정방법
2. 실증분석 결과
(1) 기업성과에 대한 혁신성과의 효과 분석
(2) 혁신성과에 대한 혁신활동의 효과 분석
(3) 혁신성과에 대한 정부혁신제도의 효과 분석
3.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6장 혁신활동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 정책 추진방향
2. 세부 정책대안
(1) 혁신역량 제고
(2) 혁신지원제도 정비
(3) 혁신네트워크 구축
(4) 혁신 프레임워크 강화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