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48Analysis of infrastructure development potential in the North Korea·China·Russia(NK·C·R) border region and counter strategies for future NK·C·R cross-border cooperation

북한중국러시아 접경지역의 산업입지기반시설 개발잠재력 분석과 대응전략

저자
김천규
단체저자
국토연구원
발행사항
안양 국토연구원 2011
형태사항
xvii194p. 삽화채색지도 25cm
총서사항
국토연구보고서 2011-48
서지주기
참고문헌(p.177-181) 수록
주제명
산업입지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155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155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연구의 흐름 4)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 북한.중국.러시아 접경지역의 현황 1. 북한 대상지역의 현황 1) 북한대상지역의 지리적 현황 2) 북한측 접경지역의 인구 현황 3) 북한대상지역의 산업구조 4) 북한대상지역의 기반시설 현황 2. 중국 대상지역의 현황 1) 중국대상지역의 지리적 현황 2) 중국대상지역의 인구 및 지역총생산 현황 3) 중국대상지역의 산업구조 변화 4) 중국대상지역의 투자 현황 5) 중국대상지역의 기반시설 현황 3. 러시아 대상지역의 현황 1) 러시아 극동지구 개관 2) 북‧중‧러접경 연해주 현황 3 북한.중국.러시아의 개발. 개방관련 계획 검토 1. 북한의 개발‧개방계획 검토 : 신의주 및 라선 개발을 중심으로 1) 북서부 접경지역 개발관련계획 2) 북동부 접경지역 개발관련계획 2. 중국 동북지구의 관련계획 및 12.5계획 검토 1) 중국의 지역개발정책 개관 2) 중국 동북지구 관련계획 검토 3. 러시아 극동지구 개발계획 검토 1) 극동발전전략 2013 2) 극동발전전략 2025 3) 2013, 2025 평가와 시사점 4. 북한‧중국‧러시아의 개발전략 종합 1) 북한 관련계획의 부문별 계획내용 요약 2) 중국동북지구 관련계획의 부문별 계획내용 요약 3) 러시아 극동지구 관련계획의 부문별 계획내용 요약 4 북한.중국.러시아 접경지역의 개발 잠재력 분석 1. 개발잠재력 분석방법 검토 1) 지역개발잠재력의 정의 2) 지역개발잠재력의 유형별 분석 2. 지역개발잠재력의 분석방법 선정 및 분석데이터 구축 1) 분석항목 설정 2) 분석방법 선정 3) 분석데이터 구축방법 3. 북‧중‧러접경지역의 GIS 구축결과 1) GIS 구축의 정확성 검토 2) 대상지역의 항목별 GIS 구축결과 4. 북‧중‧러접경지역의 개발잠재력 분석결과 1) KOPSS를 이용한 개발가능후보지 도출과정 2) 북‧중‧러접경지역 개발잠재력 분석결과 3) 지역군별 개발가능후보지의 입지 및 기반시설여건 분석 5. 북‧중‧러접경지역에 대한 각국의 개발전략 분석 1) 북‧중 서부접경지역의 개발가능후보지 현황 및 관련계획내용 2) 북‧중 중부접경지역의 개발가능후보지 현황 및 관련계획내용 3) 북‧중 동부접경지역의 개발가능후보지 현황 및 관련계획내용 4) 러시아 연해주지역의 개발가능후보지 현황 및 관련계획내용 5) 중‧러 동부접경지역의 개발가능후보지 현황 및 관련계획내용 5 북한.중국.러시아 접경지역의 초국경 협력과제 도출 및 대응전략 1. 초국경협력의 동향 및 사례 1) '지역'의 광역화와 초국경지역의 출현 2) 초국경지역의 서구 사례 3) 동북아지역의 초국경전략 4) 시사점 : 동북아 초국경 연계‧협력의 전망과 과제 2. 동북아 및 북‧중‧러접경지역의 정세 전망 및 시나리오 설정 1) 동북아정세 전망 2) 북‧중‧러접경지역의 향후 정세시나리오 설정 3. 북한‧중국‧러시아 접경지역의 초국경협력과제 및 대응전략 1) 협력과제 도출과정 2) 부문별 핵심 협력과제 3) 지역별 핵심 협력과제 4) 단계별 협력과제 5) 우리정부와 기업의 대응전략 6 결론 1. 본 연구의 기대효과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한계 3.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SUMMARY 课题摘要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