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9-01-01A study on predicting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and devising mid- to long-term management policy in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세먼지 예측 및 중장기 관리정책 수립 연구
- 저자
- 이승민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108p 도표 26cm
- 총서사항
- 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9-01-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97-100p)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00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0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제2장 미세먼지 농도 및 기상 여건의 중장기적 변화 분석
1. 미세먼지 대기질 및 기상 여건의 중장기적 변화
2.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여건 변화의 관련성
제3장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도 분석
1.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상변화 기여도 분석 필요성
2. 기상변화 기여도 산정을 위한 기초 분석
3. 대표연도에 대한 모델링 수행 결과
제4장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대한 기상·기후 영향 분석
1.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관련 요소의 중장기 변화
2.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발생과 관련된 기상요소의 변화
제5장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미래 변화 추정을 위한 예측지수 개발
1. 초미세먼지 농도 예측 지수 개발을 위한 요인 분석
2. 선정된 요인을 이용하여 구성된 초미세먼지 농도 예측지수
제6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중장기 미세먼지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국내외 여건 분석
1. 기후변화 관련 현황 및 전망
2. 국내 미세먼지 정책 현황 및 관련 여건 전망
3. 국외 미세먼지 관리정책 현황 및 관련 여건 전망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및 요약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