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AURI 일반연구보고서 2020-08Policy Improvements for Urban Climate Change With Green New Deal
그린뉴딜을 통한 도시 기후변화 정책 개선방안
- 단체저자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발행사항
- 세종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20
- 형태사항
- 164p. 도표 26cm
- 총서사항
- AURI 일반연구보고서 2020-0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9-144)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22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2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그린 뉴딜의 필요성
1. 기후변화 대응 정책 개선의 필요성 2
1)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과 연구 과제 2
2) 기후변화 대응 정책 개선의 필요성 3
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그린 뉴딜 4
1) 그린 뉴딜의 필요성 4
2) 기후변화 대응과 그린 뉴딜 5
제2장 기후변화 정책 및 그린뉴딜 추진 현황 분석
1. 국가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8
1)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8
2)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 현황 15
2. 그린 뉴딜 정책 개요 및 현황 34
1) 그린 뉴딜 정책의 이해 34
2) 해외 그린 뉴딜 정책 현황 39
3) 우리나라의 그린 뉴딜과 국내외 비교 51
3. 종합 및 시사점 57
1) 분석의 종합 57
2) 정책 추진을 위한 시사점 66
제3장 도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
1. 기후변화 적응대책 발전 방향 70
1) 기후변화 적응 거버넌스 체계 및 사회 취약성 고려 70
2) 데이터 기반 정책 모니터링 및 평가 71
3) 정책 연계성 확보 노력 72
4) 시장 접근 확대 72
2.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발전 방향 74
1)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주류화 필요 74
2) 기후변화 적응력 진단을 통한 지역적 특성 반영 필요 74
3) 실효성 제고를 위한 이행실적 관리방안 마련 필요 75
4) 연동계획(Rolling Plan)의 성격 강화 필요 75
5) 업무 연속성을 위한 정기적인 정보·교류 프로그램 마련 필요 76
3. 세부 추진 전략 77
1) ‘적응’에서 ‘대응’으로의 정책 전환 메시지 전달 77
2) 평가체계 개선과 독립적 전문기관 마련 78
3) 효율적 예산집행 및 공간단위 인센티브 전략 마련 79
4)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지침 개선 80
4. 건축도시 분야 기후변화 대응 과제 82
제4장 그린 뉴딜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방향
1. 그린 뉴딜을 통한 건축·도시 정책 방향 90
1) 실천적 정책 제시의 필요성 90
2) 건축·도시부문 정책 방안 92
2. 그린 리모델링 추진 방향 100
1) 공공건축물을 활용한 정책 현실화 100
2) 민간 건축물 확대를 위한 로드맵 마련 102
3. 스마트 그린도시 추진 방향 107
1) 녹색복원의 개요 107
2) 그린뉴딜에서의 도시 녹색복원 109
3) 스마트 그린도시와 녹색복원 110
4) 스마트 기술 기반 도시 녹색복원의 필요성 111
5) 지속가능한 그린뉴딜을 위한 도시 녹색복원 발전방향 113
4. 그린 모빌리티 추진 방향 117
1) 개요 117
2) 추진과제 및 목표 117
3) 미래자동차 친화적 사회시스템 및 산업생태계 구축 118
4) 친환경차 보조금 정책 120
5)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120
6) 수소버스 보급 122
7) 건축·도시 부문의 그린 모빌리티 고려 방안 모색 123
5. 건축도시 분야 그린 뉴딜 과제 124
제5장 결론
1. 연구의 의의 130
2. 정책 제언 135
참고문헌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