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9-05A study on enhancing social acceptance of environmental policies : focusing on environmental culture
환경정책의 사회적 수용성 제고 방안: 환경문화를 중심으로
- 저자
- 조공장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113p 도표 25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9-05
- 원표제
- A study on enhancing social acceptance of environmental policies : focusing on environmental culture
- 서지주기
- 참고문헌(97-106p)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00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0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추진 구조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분석
1. 환경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가. 문화의 정의와 분류
나. 정책에서 환경문화에 대한 논의
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환경문화
2. 수용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가. 수용성 정의
나. 정책 수용성과 관련된 이론
다. 환경정책에서 정책 수용성의 중요성
라.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수용성
3. 수용성 요인 관련 선행연구
가. 환경정책 수용성 요인 관련 국외 선행연구
나. 환경정책 수용성 요인 관련 국내 선행연구
다. 수용성 요인 선행연구 정리
제3장 수용성 요인 분석
1.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수용성 요인
가. [사례1] 수도권 통합요금제도
나. [사례2] 도로명주소
다. [사례3] 빈용기 보증금제도
라. [사례4] 재활용품 분리배출
마. [사례5] 일회용컵 사용규제 정책
바. [사례6] 쓰레기 불법소각 금지
2.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수용성 요인 정리
3.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한 수용성 요인 분석
가. 정책참여와 거버넌스
나. 의사소통 체계 구축을 통한 신뢰형성
다. 기업의 자율적 환경관리와 환경규제
라. 개발사업의 환경영향과 정책 수용성
마. 정보공유 및 홍보, 학습
4. 소결
가. 직접적 요인
나. 약한 규제 및 낮은 시민의식
다. 상호 신뢰 및 다양성 존중의 부족
라.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성
마. 정책수립 절차와 주민참여
바. 정보와 수용성
사. 정책수립 및 집행집단 내부 의사결정의 비민주성
제4장 정책 수용성 제고 방안
1. 수용성 제고를 위한 환경문화의 유형
가. 정책형성문화의 특징
나. 조직·집단문화의 특징
다. 선(先)개발·후(後)환경의 개발우선문화
라. 수용자의 소통문화
2. 정책형성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가. 정책형성문화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
나. 정책형성문화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 방안
3.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가. 조직·집단문화의 현황과 개선방향
나. 조직·집단문화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 방안
4. 선(先)개발 후(後)환경의 개발우선문화
가. 개발우선문화에서의 전환을 위한 기본원칙
나. 선(先)개발 후환경의 개발문화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 방안
5. 소통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가. 소통문화 개선을 위한 기본원칙
나. 소통문화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 방안
제5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