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STEPI 정책연구 2020-26-01The Monitoring of China’s Advanced Technology in 2020 and Building a Database: Focused on AI, 5G, Blockchain

2020년 중국(중화권) 첨단기술 모니터링 및 DB 구축 사업: AI, 5G, 블록체인

발행사항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형태사항
282 p. 도표 24cm
총서사항
STEPI 정책연구 2020-26-01
서지주기
참고문헌 (p.255-271)수록
주제명
중국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644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64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론 1 제1절 배경 및 필요성 1 1. 연구의 배경: 디지털 기술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국 1 2. 연구의 필요성: 중국 디지털 기술의 혁신 시스템 분석 3 제2절 목적과 범위 4 제2장 문헌 고찰 5 제1절 기술 혁신 시스템(Technology Innovation System) 5 1. 기술혁신시스템(TIS)의 탄생 배경 5 2. 기술 혁신 시스템(TIS)의 특징 8 3. 기술혁신시스템(TIS)의 진화 필요성: 글로벌화·외부 요인의 영향 증대 13 제2절 외부변수: 미‧중 기술 패권 경쟁과 코로나 바이러스 17 1. 미‧중 기술 패권 경쟁 17 2.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36 제3절 본 연구의 분석 모형 및 방법 43 1. 분석 프레임워크 43 2. 데이터 및 방법 45 제3장 중국 인공지능의 기술혁신시스템 47 제1절 서론 47 1. 인공지능의 정의 47 2. 인공지능의 발전 과정 50 3. 중국의 위상 53 제2절 중국 인공지능 기술혁신시스템의 구성 요소 55 1. 주체(Actors) 55 2. 네트워크(Networks) 62 3. 제도 (Institutions) 64 제3절 중국 인공지능 기술혁신시스템의 혁신 기능 69 1. 기업가적 실험과 도전(Entrepreneurial Activities) 69 2. 지식 개발(Knowledge Development) 78 3. 지식의 확산·교환(Knowledge Diffusion/Exchange) 94 4. 방향성 제시(Guidance of the Search) 100 5. 시장 형성(Market Formation) 108 6. 자원의 이동(Resource Mobilization) 113 7. 정당성 확립(Creation of Legitimacy) 117 제4절 소결 125 제4장 중국 5G의 기술혁신시스템 127 제1절 서론 127 1. 5G의 정의 및 특성 127 2. 발전 과정과 향후 전망 128 3. 중국의 위상 131 제2절 중국 5G 기술혁신시스템의 구성요소 132 1. 주체 (Actors) 132 2. 네트워크 (Network) 138 3. 제도 (Institution) 141 제3절 중국 5G 기술혁신시스템 혁신 기능(Innovation Function) 146 1. 기업가적 실험과 도전(Entrepreneurial Activities) 146 2. 지식 개발 (Knowledge Development) 150 3. 지식의 확산·교환(Knowledge Diffusion/Exchange) 158 4. 방향성 제시(Guidance of the Search) 161 5. 시장 형성(Market Formation) 164 6. 자원이동 (Resource Mobilization) 170 7. 정당성 확립 (Creation of Legitimacy) 172 제4절 소결 177 제5장 중국 블록체인의 기술혁신시스템 180 제1절 서론 180 1. 블록체인 개념 및 특성 180 2. 발전 과정 183 3. 중국의 위상 184 제2절 중국 블록체인 기술혁신시스템의 구성요소 185 1. 주체(Actors) 185 2. 네트워크(Network) 189 3. 제도(Institution) 190 제3절 중국 블록체인 기술혁신시스템의 혁신 기능 198 1. 기업가적 실험과 도전(Entrepreneurial Activities) 198 2. 지식 생산·개발(Knowledge Development) 203 3. 지식의 확산·교환(Knowledge Diffusion/Exchange) 209 4. 방향성 제시(Guidance of the Search) 215 5. 시장 형성(Market formation) 220 6. 자원의 이동(Resource mobilization) 223 7. 정당성 확립(Creation of legitimacy) 228 제4절 소결 23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232 제1절 중국 디지털 기술혁신시스템의 특징 232 1. 중국 혁신 주체들의 초공격적 추격 및 추월 전략 232 2. 유기적인 네트워크의 구축과 작동 237 3. 제도적 우위를 활용한 상용화 프론티어 국가로의 도약 239 4. 미‧중 패권 경쟁과 COVID-19의 영향 242 5. 중국 혁신 시스템의 해결과제와 향후 전망 244 제2절 한국의 대응 방안 246 1. 혁신 주권 유지를 위한 핵심 자원 확보 및 디지털 전환 지원 246 2. 내생적 성장 기반 확충을 위한 전략적 수요 창출 248 3.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분야별·지역별 디지털 플랫폼 구축 249 4. 사람·윤리 중심의 미래지향적 규제 최적화 추진 250 5. 디지털 인재 육성 및 교육 정책 수립 251 6. 정책 불확실성 해소, 거버넌스 효율화, 국가 디지털 리모델링 추진 252 7. 미·중 혁신 정책·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를 고려한 협력 전략 수립 253 참고문헌 255 부록 273 Summary 277 Contents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