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3-10A Study on Securing Overseas Carbon Storage for the Carbon-Neutral Energy Transition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국외 탄소저장소 확보 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추다해
연구참여자
김수인, 안지영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형태사항
xvi 136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3-10
서지주기
참고문헌(p.101-10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7651대출가능-
자료실P42765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76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765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글로벌 CCUS 현황과 주요 이슈  1. 글로벌 CCUS 활용 필요성과 진행 경과   1.1. 글로벌 넷제로와 CCUS   1.2. 글로벌 탄소저장소 잠재력과 CCS 프로젝트  2. 다국적 탄소저장관련 주요 쟁점   2.1 이산화탄소 성격과 국제협력   2.2. 新기후체제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CS   제3장 주요국 CCS 정책 환경  1. 호주  2. 미국  3. 유럽연합  4. 일본  5. 기타국가   5.1. 말레이시아   5.2. 아랍에미레이트   5.3. 싱가포르   제4장 국내 탄소중립 이행과 CCS  1. 탄소중립 목표 이행과 온실가스 감축 달성을 위한 CCS   1.1. CCUS 관련 국내 주요 기본계획 및 정책 현황   1.2. CCUS 관련 과학기술 주요 전략  2. 국내 탄소저장 역량과 실증 경과   2.1. 국내 탄소저장 잠재력 평가   2.2. 국내 저장소 활용을 위한 실증 계획과 경과  3. 국내 CCS 추진 성과 평가   제5장 국외 탄소저장소 활용의 선제조건과 국제협력  1. 국외 탄소저장소 활용의 선제조건   1.1. 권역별 탄소저장 잠재력   1.2. 수송 환경   1.3. 저장-수송 역량기반 잠재 협력국 유형화  2. 우리나라의 국외 탄소저장소 활용 추진 현황   2.1. 국내 기업의 국경이동 CCS 프로젝트  3. 국제협력 확대에의 시사점   3.1. 국외수송 협력국가 확대   3.2. 협력 형태의 확장 필요성   제6장 탄소저장소 활용 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  1. 잠재 협력국 환경에 따른 협력 확대 지원   1.1. 협력 환경 검토 요인 식별   1.2. 탄소중립 이행 강도   1.3. 프로젝트 지속 리스크   1.4. 요인별 요약  2. CCS 생태계 확대를 위한 추가적 정책 요구사항   2.1. CCS 국제협력 확대를 위한 공통 지원   2.2. CCUS 지원체계 구축과 탄소저장소 확보 구체화   2.3. 초기시장 형성과 경제성 확보 지원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주요국 저장환경  1. 호주  2. 말레이시아  3. 아랍에미레이트  4. 미국  5. 유럽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