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3-19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성과공유 및 평가체계 구축방안(3/3)

A study on Industrial Energy Efficiency Network and Its Evaluation System(3/3)

연구책임자
박지용, 이성인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형태사항
xvi 102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3-19
서지주기
참고문헌(p.85-89)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7669대출가능-
자료실P42767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766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767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산업부문 에너지효율향상과 탈탄소화를 위한 연대 및 협력의 필요성   1.2. 에너지효율 네트워크의 성장과 역할  2. 연구 내용   제2장 국내 에너지효율 네트워크의 과제 및 발전 방안  1. 에너지효율 정책의 역할과 동향   1.1. 에너지효율 정책과 정부의 역할 변화  2. 에너지효율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과제   2.1. 정책참여에 대한 우선순위 상승   2.2. 정보공유의 활성화  3. 모니터링과 평가  4. 데이터의 관리 및 정보접근의 편리성 증대   4.1. 데이터에 대한 보안과 검증   4.2. 플랫폼의 활용   제3장 에너지효율 네트워크의 참여 활성화 방안  1. 에너지효율 투자 행태  2. 에너지효율 투자의 기준   2.1. 회수기간   2.2. 한계 지불가능 에너지효율 투자비용  3. 소결   제4장 에너지효율 성과공유 활성화 방안  1. 설문개요 및 구성  2. 분석결과   2.1. 정보제공 범위 분석 결과   2.2. 에너지효율 투자 관련 성과공유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3. 성과공유 활성화 방안   3.1. 평가연계를 활용한 인센티브 활용방안   3.2. 정보공유의 확산을 위한 기반조성  4. 소결 및 한계점   제5장 모니터링 및 평가 방안  1. 모니터링과 평가의 필요성 및 절차   1.1. 필요성   1.2. 대상 및 절차  2. 정성적 평가의 필요성 및 활용사례  3. 에너지효율 네트워크의 정성적 평가 시 고려사항   3.1. 평가 세부항목   3.2.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의 배분  4. 소결   제6장 정성적 평가의 적용에 대한 구체화 방안  1. 에너지효율 네트워크의 정성적 평가기준  2. 참여기업에 대한 정성적 평가 수행방안   2.1. 관리자가 평가를 수행할 경우   2.2. 기업이 클러스터 내의 타 기업들을 평가할 경우  3. 평가결과 활용방안  4. 소결   제7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시사점  3. 한계점   참고문헌   부록1   부록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