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 연구보고서
국내 자원개발 해양플랜트산업의 과제와 대응방안
- 카테고리
- 수시연구보고서
- 연구책임자
- 도현재
- 발행연도
- 2014
- 페이지
- v 90p.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5-90) 수록
- 총서명
- KEEI 수시연구보고서
- 총서번호
- 14-09
소장정보
|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 이용 가능 (2) | ||||
| 자료실 | P423682 | 대출가능 | - | |
| 자료실 | P423683 | 대출가능 |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6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68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소개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속된 고유가 기조는 해양 석유·가스자원 개발을 가속화시키며, 이에 따라 해양플랜트산업 역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주요 조선사들은 상선 건조부문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양플랜트산업에 주력하였고,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양플랜트 건조 비중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러나 최근 국내 조선 3사는 해양플랜트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대규모 손실을 기록하였으며, 그 주요 원인으로 설계부문의 엔지니어링 역량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해양플랜트산업은 조선해양부문뿐만 아니라 자원개발 및 부품·기자재 산업과 같은 전후방 연관산업에도 중요한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플랜트산업의 현황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국내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및 제약요인을 분석한다. 아울러 기술 역량 강화를 포함한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의 체계적 육성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석유·가스자원 개발과의 시너지 창출과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해양플랜트의 이해 및 시장 현황
1. 해양플랜트 개요 및 설치 현황
2. 해양플랜트 시장 규모와 전망
제3장 국내 조선 3사의 해양플랜트 부문 손실
1. 최근 조선 3사의 영업실적 추이
2. 조선 3사의 해양플랜트 부문 현황과 손실 
제4장 해양플랜트 부문 손실의 배경과 기술 역량
1. 해양플랜트산업의 특성과 공급사슬
2.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제5장 해양플랜트산업 육성 정책
1. 중국의 추격과 일본의 재기
2. 우리나라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 정책
제6장 시사점 및 대책
1. 종합 및 시사점
2. 해양플랜트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