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Sounds of Chinese

중국어 말소리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10
형태사항
476 p. : 삽화 ; 24 cm +
서지주기
참고문헌(p. 442-446)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37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3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중국어 말소리>는 언어학에 관한 사전 지식이 없는 학생들에게 표준중국어의 음성 음운론에 관한 개론서로 사용되도록 쓰였다. 이 책은 또한 발음에 관한 기본적인 언어학적 지식과 표준중국어의 음성 체계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참고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 책은 원래 영어권 학생과 독자를 위하여 기획되었지만, 중국어와 중국어 언어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책은 각 장마다 논의와 관련된 핵심 이론을 간단히 소개한 다음 이 이론을 현대표준중국어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음성학 및 음운론의 기본 이론에 비교적 취약한 독자라 하더라도 내용을 쉽게 따라갈 수 있다. 이러한 배려는 일반언어학 이론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개별 언어 전공자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다.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지은이 서문
옮긴이 서문

제1장 서 론_19
1.1 중국어족 20
1.2 표준중국어 21
1.3 성조, 음절, 형태소와 단어 23
1.4 한자, 로마자 표기, 발음 26
1.5 음성학과 음운론 29
1.5.1 음성학 31
1.5.2 음운론 34
1.5.3 음성학 대 음운론 38
1.6 이 책의 구성 39

제2장 자 음_45
2.1 자음의 생성과 분류 45
2.1.1 성문의 상태: 유성음과 무성음 46
2.1.2 조음 기관 49
2.1.3 조음 위치 51
2.1.4 조음 방법 61
2.1.5 성대진동 시작시간: 유기 자음과 무기 자음 68
2.1.6 요약과 음성 전사 71
2.2 SC의 자음 73
2.2.1 파열음, 비음, 설측음 74
2.2.2 순치음과 연구개 마찰음 76
2.2.3 치 파찰음과 치 마찰음 77
2.2.4 후치조 자음 78
2.2.5 치조경구개 자음 81
2.2.6 활음 84
2.2.7 SC의 자음 음소 84
2.3 요약 85

제3장 모음과 활음_93
3.1 모음의 발음과 분류 93
3.1.1 간극: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94
3.1.2 조음 위치: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96
3.1.3 입술 위치: 원순 모음과 비원순 모음 98
3.1.4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 100
3.1.5 모음의 변형 102
3.1.6 요약 103
3.2 활음(반모음) 106
3.3 이중 모음 108
3.4 SC의 모음과 활음 112
3.4.1 고모음/고활음과 설첨 모음 112
3.4.2 중모음 116
3.4.3 저모음 122
3.4.4 이중 모음 124
3.4.5 r-음화/권설음화 모음 127
3.4.6 SC의 모음 음소 129
3.5 요약 130

제4장 성 조_139
4.1 성조의 음성 특성과 분류 139
4.1.1 성조란 무엇인가? 140
4.1.2 성조의 음성 특성 142
4.1.3 성조 연계 단위 144
4.1.4 성조의 종류와 전사 145
4.2 SC의 성조 148
4.2.1 네 개의 음소적 성조 149
4.2.2 경성 153
4.2.3 성조 변화 156
4.3 요약 159

제5장 음절 구조_165
5.1 중국어 음절 구조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166
5.2 음절 구조와 음절화 168
5.2.1 위계적 음절 구조 168
5.2.2 공명도 연쇄 원리 171
5.2.3 음절 두음 최대화 원리 173
5.2.4 재음절화와 영성모 음절 176
5.3 음절 유형에 따른 음소 배열 제약과 공백 178
5.4 요약 186

제6장 음성 전사와 한어병음_191
6.1 IPA 전사와 한어병음 표기 192
6.1.1 자음과 모음 192
6.1.2 성조 199
6.2 한어병음 철자법 규약 202
6.3 요약 206

제7장 분절음 변화 1_211
7.1 기본 개념 213
7.1.1 음운 자질과 소리의 자연 부류 213
7.1.2 음운 변화와 규칙 221
7.1.3 규칙과 제약 228
7.1.4 음운 규칙과 음성 규칙 229
7.2 SC에 나타나는 동화 231
7.2.1 경구개음화 231
7.2.2 비모음화 234
7.2.3 저모음 동화 235
7.2.4 중모음 동화 237
7.3 SC의 약화와 축약 242
7.3.1 자음 약화 242
7.3.2 모음 축약과 운 축약 244
7.3.3 모음의 무성음화 249
7.4 요약 251

제8장 분절음 변화 2_257
8.1 음절에 기초한 변화 258
8.1.1 활음 형성 258
8.1.2 성절 자음(설첨 모음) 258
8.1.3 영성모 음절 261
8.1.4 중모음의 긴장음화 265
8.1.5 중모음 삽입과 고모음 분할 267
8.1.6 음절 축약 274
8.2 r-접미사화 277
8.2.1 r-접미사의 사용과 기능 278
8.2.2 접미사의 음운/음성 표현형 280
8.2.3 단순운 음절의 접미사화 280
8.2.4 복합운 음절의 접미사화 283
8.3 요약 287

제9장 성조 변화_293
9.1 성조 자질과 성조 변화 294
9.2 음소적 성조의 성조 변화 298
9.2.1 3성과 4성의 축약 298
9.2.2 3성 변조 299
9.2.3 一와 不의 성조 변화 301
9.2.4 중첩에서 나타나는 성조 변화 302
9.2.5 2성 변조 303
9.3 경성의 음성 실현 305
9.4 복합어와 구의 3성 변조 310
9.4.1 운율적 범위와 형태통사적 범위 311
9.4.2 3성 변조의 예 317
9.5 요약 329

제10장 강세와 억양_337
10.1 강세와 성조 337
10.1.1 강세란 무엇인가 338
10.1.2 SC의 강세 그리고 강세와 성조의 상호 작용 340
10.2 억양과 성조 344
10.2.1 억양이란 무엇인가 344
10.2.2 SC 억양 그리고 SC 억양과 성조의 상호 작용 346
10.3 요약 352

제11장 차용어의 적응_357
11.1 SC의 차용어 358
11.2 SC 차용어의 소리 적응 362
11.3 음절 구조 조정 365
11.3.1 핵음 삽입 365
11.3.2 자음 탈락 369
11.4 자음의 적응 371
11.4.1 설정성 마찰음/파찰음과 연구개음 373
11.4.2 구강 파열음 376
11.4.3 유음 378
11.4.4 비음 381
11.5 모음의 적응 382
11.5.1 전설 저모음 383
11.5.2 전설 고모음과 전설 중모음 385
11.5.3 원순 후설 모음 387
11.5.4 활음과 모음의 연쇄 390
11.5.5 중설 중모음 391
11.6 요약 393

제12장 SC의 변이_399
12.1 중국어족의 언어와 방언 399
12.2 SC의 갈래 402
12.3 대만의 SC 403
12.3.1 자음 405
12.3.2 모음 408
12.3.3 성조와 강세 411
12.3.4 기타 차이 413
12.4 요약 415

부록 A 국제 음성 기호(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_421
부록 B SC 음절표: 한어병음과 음성 전사_424
부록 C 인터넷 자료_434
더 읽을 거리_436
참고 문헌_442
용어 풀이_447
색인_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