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41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041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명나라의 고무(高武)는 상생관계에 근거하여 자경(自經)의 오수혈(五輸穴)을 이용해서 오행속성에 따라 경혈을 선택하는 자경보사법(自經補瀉法)을 최초로 논술하였고, 장세현(張世賢)은 상생관계에 의한 오수혈의 취혈법을 타경(他經)까지 확대 적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 사암 선생은 이러한 상생관계에다 상극관계를 결합하여 자경과 타경에서 모두 보사혈을 취하는 ‘사암오행침법’을 창안하였는데 이 침법은 현재에도 가장 완벽한 오행의 이론체계를 갖춘 세계최고의 침법이다.
한국의 대표적 침술서로는 허준의 ≪東醫寶鑑≫과 허임의 ≪鍼灸經驗方≫, 그리고 사암의 ≪舍巖正五行≫이 있다. ≪東醫寶鑑≫은 당시의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기술되었고, ≪鍼灸經驗方≫도 중국의 ≪鍼灸資生經≫ 중에서 본인이 효과를 경험한 침처방과 자신이 사용한 독특한 침처방을 묶은 경험 침술서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한의학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침법으로서는 사암침법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중국이나 일본에도 오행침법이 있으나 사암침법은 ≪難經≫과 ≪神應經≫에 수록된 오행침에 자경과 타경을 겸비한 오행보사침법으로 독창적인 침법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매우 체계적인 논리를 가지고 있는 한국 전통 침법이다. 본 책은 1742년 이후 조선 후기에 원본 형태의 사암침 책 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추정되는 지산 선생이 저술한 ≪經濟要訣?舍巖目錄≫을 원문으로 삼아 여러 한의학 경전들을 참고하여 정통 한의학 이론에 입각해서 사암침법의 침처방 원리를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향후 우리민족의 소중한 전통 사암침법을 더욱더 열심히 연구하고 연마하여 세계적인 침법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 침술서로는 허준의 ≪東醫寶鑑≫과 허임의 ≪鍼灸經驗方≫, 그리고 사암의 ≪舍巖正五行≫이 있다. ≪東醫寶鑑≫은 당시의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기술되었고, ≪鍼灸經驗方≫도 중국의 ≪鍼灸資生經≫ 중에서 본인이 효과를 경험한 침처방과 자신이 사용한 독특한 침처방을 묶은 경험 침술서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한의학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침법으로서는 사암침법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중국이나 일본에도 오행침법이 있으나 사암침법은 ≪難經≫과 ≪神應經≫에 수록된 오행침에 자경과 타경을 겸비한 오행보사침법으로 독창적인 침법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매우 체계적인 논리를 가지고 있는 한국 전통 침법이다. 본 책은 1742년 이후 조선 후기에 원본 형태의 사암침 책 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추정되는 지산 선생이 저술한 ≪經濟要訣?舍巖目錄≫을 원문으로 삼아 여러 한의학 경전들을 참고하여 정통 한의학 이론에 입각해서 사암침법의 침처방 원리를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향후 우리민족의 소중한 전통 사암침법을 더욱더 열심히 연구하고 연마하여 세계적인 침법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舍巖序
芝山序
第一章 中風門
第二章 傷寒門
第三章 天地運氣門
第四章 中暑門
第五章 濕症門
第六章 燥症門
第七章 火熱門
第八章 鬱症門
第九章 痰飮門
第十章 咳嗽門
第十一章 哮喘門
第十二章 ?疾門
第十三章 痢疾門
第十四章 ?膈門
第十五章 애逆門
第十六章 嘔吐門
第十七章 呑酸門
第十八章 ?雜?氣門
第十九章 腫脹門
第二十章 積聚門
第二十一章 虛損門
第二十二章 勞極門
第二十三章 ?亂門
第二十四章 泄瀉門
第二十五章 眩暈門
第二十六章 頭痛門
第二十七章 胃脘痛門
第二十八章 腹痛門
第二十九章 腰痛門
第三十章 脇痛門
第三十一章 諸氣門
第三十二章 疝氣門
第三十三章 脚氣門
第三十四章 痛風門
第三十五章 ?症門
第三十六章 耳病門
第三十七章 目病門
第三十八章 口病門
第三十九章 喉症門
第四十章 齒痛門
第四十一章 鼻病門
第四十二章 血症門
第四十三章 痔漏門
부록: 사암침법의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