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이화학술원 주제연구 1

한국 민족주의의 종교적 기반

(The) religious bases of Korean nationalism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0
형태사항
294 p.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284-285)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40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40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에서는 한국 민족주의의 형성과정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한국 민족주의의 종교적 기반’에 대한 연구를 기획하였다. 민족주의에 대한 기초작업으로서 종교를 선택한 이유는, 근대 이전의 이른바 전통사회에서 사회구성원의 민족적 자각과 인식의 계기는 기존의 것과는 전혀 다른 세계관과의 조우나 새로운 종교관의 등장에서 비롯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전통사회의 구성원들이 신분의 차별과 남녀의 구별, 지역적 한계라는 사회문화적 장벽을 넘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는 계기는 가치관 혹은 세계관의 혁명적 전환이 없이는 불가능하고, 이러한 집단적 인식의 전환계기는 종교의 개종과 같은 현상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근대(국민)국가의 성립은 개인의 정체성과 충성심, 생활태도의 변화를 수반한다는 의미에서 민족주의 역시 일종의 종교적 개심의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선사회에서 서구세력과 만나거나 충돌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가치관이나 세계관이 어떠한 변용을 겪거나 무너졌는지, 혹은 새로운 세계관이 등장하여 조선사회 구성원들을 새롭게 결집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했는지를 4명의 저자가 조선사회의 지배이념이었던 유교와, 조선사회에서 민중불교로 정착한 미륵신앙, 그리고 새로운 공동체를 지향했던 한국가톨릭과 동학을 연구주제로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목차
이벽과 한국적 가톨릭의 등장 /▼d차성환 --▼t민족종교, 도덕공동체, 동학 /▼d차남희 --▼t어양(禦洋)과 경장(更長) 그리고 네이션(Nation) /▼d김석근 --▼t한국 민족죽의의 심층문화지원 /▼d유승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