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425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42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급변하는 방송산업 환경에서 공영방송은 경쟁력과 공익성 모두를 갖출 수 있을까?
스마트폰 보급에 힘입은 뉴미디어의 붐, 텔레비전방송 수신료 인상과 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 등으로 방송 관련 분야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맞춰 방송 분야 역시 변할 수밖에 없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가 개악이 아니라 개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혁신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른 이들의 선례를 확인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공공서비스방송의 개혁에 관해서라면 영국의 BBC만 한 예를 찾기가 힘들다. 이 책은 경제학·뉴미디어·사회커뮤니케이션 등의 영역에서 자신만의 시각과 식견을 가지고 입지를 굳혀온 학자들이 BBC의 개혁에 관해 연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 방송계에 시사점을 던져준 연구서이다. BBC 조직과 개혁에 대한 개관에서 콘텐츠 창의성 제고전략, 경영 혁신, 디지털 서비스 발전, 지역방송에 이르기까지 공영방송 개혁 이슈들이 충실히 담겨 있다.
공공서비스방송의 과거이자 미래인 BBC를 심층분석!
BBC는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공공서비스방송이다. 미국의 PBS와 달리 BBC의 사회적 영향력은 강력하며, 수신료나 지상파 주파수 등 사회적 특혜를 받는 만큼 BBC가 영국 사회에 지는 공적 책무 역시 막중하다. BBC는 경영과 관리 분야뿐 아니라 디지털미디어 분야에서도 시대의 변화를 선도하며 끊임없이 혁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대체로 성공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3개월에 걸쳐 BBC의 개혁에 관해 사전 연구를 한 후 영국 현지 방문 조사를 떠났다. 저자들은 영국에서 BBC, BBC 트러스트, ITV, 채널4 등 주요 정책기관과 방송사 관계자를 심층면접했고, 이 내용을 사전 조사 자료와 적절히 엮어 풍성하고도 알찬 결과물로 뽑아냈다.
신간 출간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시대를 맞이해 최근 한국 방송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고, 어디로 향해야 할지에 관한 논의 역시 활발하다. 이 책의 저자들은 마크 톰슨 사장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BBC의 ‘창의적 미래’ 전략을 총론, 프로그램 부문, 경영 부문, 디지털서비스 부문, 지역방송 등으로 구분해 핵심 내용을 분석했다. 또한 학문적인 점검과 더불어 현장의 움직임을 실제 BBC의 핵심관계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본문에 녹여냄으로써 통계자료가 보여주지 못한 이면까지 보여주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BBC의 미래 전략에 대한 유일한 종합보고서로서, 이 책은 선진 방송사의 미래 전략을 통해 오늘 한국 방송이 풀어야 할 숙제가 무엇인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쥐여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BBC 조직과 개혁의 역사
1. 조직과 운영
2. BBC 약사
3. BBC 관련 특별위원회
4. BBC 개혁
제2장 BBC의 콘텐츠 창의성 제고전략
1. BBC 콘텐츠 전략 변화의 배경
2. 영국 방송 콘텐츠 현황
3. 콘텐츠 전략
4. 콘텐츠 제작 시스템 효율화 및 평가
5. 결론
제3장 BBC의 경영 혁신
1. BBC 경영혁신의 배경과 주요 내용
2. 인적자원 관리
3. 프로그램 제작 관리
4. 운영과 재무 관리
5. BBC의 자회사를 통한 상업 활동
6. BBC의 아웃소싱 활동
제4장 BBC 디지털 서비스의 발전과 공영방송의 사회적 기능
1. 문제제기: BBC 디지털 서비스의 성공 요인?
2. 디지털 지상파 플랫폼: 프리뷰
3. 디지털 위성 플랫폼: 프리샛
4. IPTV 플랫폼의 등장: BBC 온디맨드와 캔버스 계획
5. BBC 트러스트와 서비스 면허
6. 결론과 시사점: BBC의 디지털 서비스 전략의 함의
제5장 BBC와 영국 지역방송
1. 영국 지역방송의 역사와 현황
2. BBC와 영국 지역방송 - 하향식 직할체제에서 지역적 분산성을 강화시킨 체제로 이동
3. ITV와 영국 지역방송 - 분산적 가맹사 체제에서 집중적 네트워크 체제로 이동
4. 영국 지역방송 체제의 주변부 - 민족권역 대상의 지역 언어 서비스와 아날로그 지상파 소규모 지역방송
5. 영국 지역방송 체제의 재편
6. 지역방송 구도의 재편을 위한 정책 기획과 BBC의 역할
7.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