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에이콘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시리즈 13Linux administration handbook
리눅스 시스템관리 완벽가이드
- 발행사항
- 의왕 : 에이콘, 2009
- 형태사항
- lii, 1122 p. : 삽화 ; 26cm
- 총서사항
- 에이콘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시리즈 ; 1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수록
- 주제명
- 리눅스[Linux]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13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1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예를 위한 예를 설명하기보다는, 현장과 실무에서 사용하는 각종 리눅스 시스템 관리 기법을 소개하는 완벽 가이드. 대규모 대학과 회사의 리눅스 시스템 환경에서 사용하는 실제 구성과 환경 설정 파일을 볼 수 있다.
가장 훌륭한 시스템 관리자 책이다. 늘 도움이 되기 때문에!
- 릭 파로우, ;login:지 편집자
대규모 시스템을 관리하면서 얻은 수십 년 동안의 경험을 살려서 현재 사용하는 기술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책이다.
- 조나단 코벳, LWN.net 공동 창립자
저자들은 리눅스 관리 분야의 절대강자다. 똑똑하고 통찰력으로 가득 차 있으며, 개념 구현을 꿰뚫어본다.
- 피터 살러스, matrix.net 편집장
초판이 2001년 출간된 『리눅스 시스템 관리 완벽 가이드』는 그간 기술적인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상용 환경에서 안정성과 성능을 최대로 끌어 올려야 하는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바이블로 자리잡았다. 개정판에서 저자들은 체계적으로 고전 지침을 업데이트해서 오늘날 가장 중요한 여러 가지 배포판들과 새롭고 강력한 관리 도구를 소개한다.
저자들은 모범 사례를 들어가며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모든 측면을 상세하게 풀어 설명한다. 이 책은 저장소 관리, 네트워크 설계와 관리, 웹 호스팅, 소프트웨어 환경 설정, 성능 분석, 윈도우와 상호 운영 등을 다룬다. 시스템 관리자는 DNS, LDAP, 보안, IT 서비스 조직 관리 같은 복잡한 주제를 현실에 맞춰 다루는 이 책에서 큰 도움을 얻을 것이다.
『리눅스 시스템 관리 완벽 가이드』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로 쓰이는 배포판 다섯 가지를 반영했다.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페도라 코어
▶ 수세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 데비안 GNU/리눅스
▶ 우분투 리눅스
저자들은 현장에서 분투하며 쌓아온 경험과 통찰력을 공유하기 위해 이상적인 환경이 아니라 실제 환경에서 리눅스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잡아낸다. 실무자들이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복잡한 과업을 설명하고 이런 과업을 광범위한 실제 경험에서 이끌어낸 예제로 명쾌하게 정리한다.
★ 이 책의 구성 ★
이 책은 크게 기초 관리, 네트워킹,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1부. 기초 관리는 시스템 관리자 관점에서 리눅스를 개괄한다. 이 장은 단독으로 동작하는 리눅스 시스템을 돌리기에 필요한 사실과 기법 대부분을 다룬다.
2부. 네트워킹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설정, 확장, 유지에 사용되는 기법을 설명한다. 고차원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역시 여기서 다룬다. DNS, NFS, 라우팅, sendmail, 네트워크 관리라는 고급 주제도 여기서 설명한다.
3부.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는 다양한 보충 정보를 두루 다룬다. 일부 장은 리눅스 프린팅 시스템과 같은 추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명한다. 일부 장은 하드웨어 유지 보수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돌리기 위한 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1판 추천사 ★
『Unix System Administration Handbook(유닉스 시스템 관리자 핸드북) 』을 리눅스용으로 만든 이 책을 검토하면서 큰 흥분을 느꼈다. 『Unix System Administration Handbook』 3판은 레드햇 리눅스를 다루긴 하지만 유닉스 변종 네 가지 중 하나로 소개됐을 뿐이었다. 이 책에서는 여러 가지 주요 리눅스 배포판을 다루며, 리눅스에 관련 없는 대다수 내용은 삭제했다. 유닉스판과 리눅스판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을지 호기심이 발동했다.
살펴보니 의외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리눅스 배포판은 공통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나왔으므로 다른 유닉스 버전에 비해 배포판끼리는 속성이 아주 유사하다. 따라서 책 내용도 상당히 구체적인 사항을 포함한다. (다양한 유닉스 변종으로 인해) 시스템 동작 방식을 추측하는 대신 이제 정확한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또한 유닉스 소프트웨어의 풍부함과 다양함을 지속적으로 소개한다. 세상에서 가장 인기 있는 거의 대다수 소프트웨어를 리눅스에서 돌릴 수 있다. 리눅스는 점차 평판이 좋아지고 있다. IBM, 오라클, SGI 같은 대기업이 리눅스를 적극 도입하면서 리눅스는 다른 유닉스 버전에 비해(물론 대기업들이 리눅스에 항상 호의적이지는 않다!) 범세계적인 표준으로 급속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 책이 보여주듯이 리눅스 시스템은 상용 제품에 못지 않게 기능이 풍부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이다. 수천 명에 이르는 개발자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어 리눅스는 과거 어느 때보다 비즈니스 일선에 투입될 만반의 태세를 갖췄다. 저자들은 이 바닥을 제대로 알고 있으며, 이 책이 나옴으로써 가장 능력 있는 전문가들의 모든 지식을 한곳에 담을 수 있게 돼 무척 기쁘다. 즐겁게 읽기 바란다!
2002년 4월
리누스 토발즈
가장 훌륭한 시스템 관리자 책이다. 늘 도움이 되기 때문에!
- 릭 파로우, ;login:지 편집자
대규모 시스템을 관리하면서 얻은 수십 년 동안의 경험을 살려서 현재 사용하는 기술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책이다.
- 조나단 코벳, LWN.net 공동 창립자
저자들은 리눅스 관리 분야의 절대강자다. 똑똑하고 통찰력으로 가득 차 있으며, 개념 구현을 꿰뚫어본다.
- 피터 살러스, matrix.net 편집장
초판이 2001년 출간된 『리눅스 시스템 관리 완벽 가이드』는 그간 기술적인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상용 환경에서 안정성과 성능을 최대로 끌어 올려야 하는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바이블로 자리잡았다. 개정판에서 저자들은 체계적으로 고전 지침을 업데이트해서 오늘날 가장 중요한 여러 가지 배포판들과 새롭고 강력한 관리 도구를 소개한다.
저자들은 모범 사례를 들어가며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모든 측면을 상세하게 풀어 설명한다. 이 책은 저장소 관리, 네트워크 설계와 관리, 웹 호스팅, 소프트웨어 환경 설정, 성능 분석, 윈도우와 상호 운영 등을 다룬다. 시스템 관리자는 DNS, LDAP, 보안, IT 서비스 조직 관리 같은 복잡한 주제를 현실에 맞춰 다루는 이 책에서 큰 도움을 얻을 것이다.
『리눅스 시스템 관리 완벽 가이드』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로 쓰이는 배포판 다섯 가지를 반영했다.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페도라 코어
▶ 수세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 데비안 GNU/리눅스
▶ 우분투 리눅스
저자들은 현장에서 분투하며 쌓아온 경험과 통찰력을 공유하기 위해 이상적인 환경이 아니라 실제 환경에서 리눅스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잡아낸다. 실무자들이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복잡한 과업을 설명하고 이런 과업을 광범위한 실제 경험에서 이끌어낸 예제로 명쾌하게 정리한다.
★ 이 책의 구성 ★
이 책은 크게 기초 관리, 네트워킹,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1부. 기초 관리는 시스템 관리자 관점에서 리눅스를 개괄한다. 이 장은 단독으로 동작하는 리눅스 시스템을 돌리기에 필요한 사실과 기법 대부분을 다룬다.
2부. 네트워킹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설정, 확장, 유지에 사용되는 기법을 설명한다. 고차원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역시 여기서 다룬다. DNS, NFS, 라우팅, sendmail, 네트워크 관리라는 고급 주제도 여기서 설명한다.
3부.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는 다양한 보충 정보를 두루 다룬다. 일부 장은 리눅스 프린팅 시스템과 같은 추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명한다. 일부 장은 하드웨어 유지 보수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돌리기 위한 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1판 추천사 ★
『Unix System Administration Handbook(유닉스 시스템 관리자 핸드북) 』을 리눅스용으로 만든 이 책을 검토하면서 큰 흥분을 느꼈다. 『Unix System Administration Handbook』 3판은 레드햇 리눅스를 다루긴 하지만 유닉스 변종 네 가지 중 하나로 소개됐을 뿐이었다. 이 책에서는 여러 가지 주요 리눅스 배포판을 다루며, 리눅스에 관련 없는 대다수 내용은 삭제했다. 유닉스판과 리눅스판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을지 호기심이 발동했다.
살펴보니 의외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리눅스 배포판은 공통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나왔으므로 다른 유닉스 버전에 비해 배포판끼리는 속성이 아주 유사하다. 따라서 책 내용도 상당히 구체적인 사항을 포함한다. (다양한 유닉스 변종으로 인해) 시스템 동작 방식을 추측하는 대신 이제 정확한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또한 유닉스 소프트웨어의 풍부함과 다양함을 지속적으로 소개한다. 세상에서 가장 인기 있는 거의 대다수 소프트웨어를 리눅스에서 돌릴 수 있다. 리눅스는 점차 평판이 좋아지고 있다. IBM, 오라클, SGI 같은 대기업이 리눅스를 적극 도입하면서 리눅스는 다른 유닉스 버전에 비해(물론 대기업들이 리눅스에 항상 호의적이지는 않다!) 범세계적인 표준으로 급속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 책이 보여주듯이 리눅스 시스템은 상용 제품에 못지 않게 기능이 풍부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이다. 수천 명에 이르는 개발자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어 리눅스는 과거 어느 때보다 비즈니스 일선에 투입될 만반의 태세를 갖췄다. 저자들은 이 바닥을 제대로 알고 있으며, 이 책이 나옴으로써 가장 능력 있는 전문가들의 모든 지식을 한곳에 담을 수 있게 돼 무척 기쁘다. 즐겁게 읽기 바란다!
2002년 4월
리누스 토발즈
목차
1부 기초관리
1장 시작하기
2장 부팅과 종료
3장 루트의 권한
4장 프로세스 제어
5장 파일 시스템
6장 새로운 사용자 추가
7장 디스크 추가
8장 주기적인 작업
9장 백업
10장 syslog와 로그 파일
11장 소프트웨어와 설정 관리
2부 네트워킹
12장 TCP/IP 네트워킹
13장 라우팅
14장 네트워크 하드웨어
15장 DNS: 도메인 네임 시스템
16장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17장 시스템 파일 공유
18장 이메일
19장 네트워크 관리와 디버깅
20장 보안
21장 웹 호스팅과 인터넷 서버
3부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22장 X 윈도우 시스템
23장 프린팅
24장 유지 보수와 운용 환경
25장 성능 분석
26장 윈도우와 협력하기
27장 직렬 장치
28장 드라이버와 커널
29장 데몬
30장 관리, 정책,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