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나는 마당 있는 작은 집에 산다: 땅콩집 건축가 이현욱의 행복한 집이야기

저자
이현욱
발행사항
서울 : 카멜레온북스, 2013
형태사항
248 p. : 천연색삽화 ; 21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531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531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작아도 편안하고 실용적인 집을 추구하는 땅콩집 건축가 이현욱의 집이야기!
공간의 넓이보다 편안함의 넓이를 중요시하는 젊은 건축가의 집에 대한 철학!


2010년에 전국에 땅콩집 짓기 열풍을 몰고 온 실용주의 건축가 이현욱 소장이 지난 4년 간 땅콩집에서의 삶과 자신의 건축 철학을 담은 이야기. 이현욱은 현재 자신이 지은 용인의 땅콩집에서 4년째 살고 있다. 68평 땅에 나란히 땅콩처럼 붙어 있는 48평짜리 집 두 채, 마당은 두 집 합쳐 20평. 그 안에서 두 가족의 삶은 활기차고 풍요롭다. 봄에는 아이들을 위해 마당에 나무집을 짓고, 여름에는 작은 텃밭을 가꿔 고추며 상추며, 방울토마토를 따먹는 재미도 쏠쏠하다. 가을엔 또 어떤가? 저혼자 풍성하게 열린 대추며 모과가 대견하다. 눈 내린 겨울에 눈사람도 만들고 집 뒷산에서 눈썰매도 탄다.
이런 삶이 가능한 것은 무엇일까? 사실 한국에서 집은 재산 증식의 수단이었다. 가족에게 얼마나 편안한 삶을 선사하느냐보다는 훗날 재테크로서의 기능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집의 가치가 평가되었다. 이현욱 소장은 이런 생각을 거부하고 ‘집은 재산증식의 수단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편안하게 쉬는 공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집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제의한다.

-집은 브랜드, 크기, 가격보다는 가족과 함께 편안하게 쉬는 공간이다!
이현욱 소장은 집은 재산 증식의 수단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편안하게 쉬는 공간’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집이란 과연 무엇일까? 어린 시절 동네 친구들과 뛰어놀다 퇴근길 아버지 손에 들려 있는 붕어빵 한 봉지를 보고 단숨에 달려가던 골목길에서의 추억, 가장의 실직으로 집 벽에 못을 박고 옷가게를 여신 어머니 덕분에, 졸지에 동네 어린이 의상모델이 되었던 이야기 등을 떠올리며, 편안함의 공간이기보다는 재테크의 수단으로 변질되어 버린 ‘집’에 대해 아쉬워한다. 집이란 가족이 행복하게 살 수 있고, 모여 있다는 게 중요한 거라고 말한다.

-우리가 아는 단독주택에 대한 불편함은 편견일 뿐이다!
단독주택은 아파트보다 보안이 불안하고, 마당 있는 집에 살려면 꼭 넓은 땅이 필요할까? 단독주택은 대문 열어 놓고 살고, 이웃이랑 식구들 얼굴도 다 아는 사이다 보니 낯선 사람은 한눈에 띄기 마련이고, 담장이 낮으니 도둑이 숨을 곳이 없다. 아파트는 철통 보안처럼 보이지만 엘리베이터나 지하 주자장 등은 더 보안의 사각지대일 뿐이다. 곳곳에 CCTV가 설치되어 있지만 예방 보안보다는 사고 후 처리에 더 요긴할 뿐이다.
또한 단독주택에 마당이 있으려면 넓게 펼쳐진 잔디밭과 각종 아름드리 나무가 심어져 있는 럭셔리 마당을 생각하는데, 마당은 가꾸는 대상이 아니라 즐기는 곳일 뿐이다. 아이들과 편하게 놀고 즐기기에는 20평 마당이라도 충분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땅콩집은 아파트나 주택보다는 작지만, 실용적인 주거 목적을 위해 탄생한 새로운 주거 형태라 할 수 있다.

-대도시 아파트 전셋집 가격으로 마당 있는 집에 살자!
아파트 생활에 젖어 살다 보면 집에 대한 생각이 고정되기 쉽다. 출퇴근이 용이하다는 이유만으로 전세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요즘, 계속해서 도시생활을 고집해야 할까?
이현욱 소장은 조금만 생각을 바꿔 보라고 제안한다. 대도시 아파트 전세가로 수도권에서 집을 지어 살아보라고 권한다. 삶의 질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가족의 삶의 질이 얼마나 좋아졌는지를 말한다.
멀게만 느껴졌던 내 집 마련의 꿈을 지금이라도 이룰 수 있다. 당장 주변을 돌아보라고 권한다. 친구나 부모님, 형제와 함께 마당있는 작은 집을 짓기 시작해보라고 권한다. 그러고 나서 1년만 살아 보면, 아니 6개월만 살아 보아도 저절로 이런 탄성이 나올 것이다.
“세상에! 우리가 바로 꿈꾸던 그 집이야!”

★ 실용주의 건축가 이현욱이 직접 손꼽는 땅콩집이 좋은 이유 베스트10 ★
1. 도심의 아파트 전셋집 가격으로 내 집에 산다.
2. 아파트와 달리 아이들이 집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다.
3. 옆집에 친구가 살아 급하면 옆집에 빌려요, 가끔 집도 봐준다.
4. 집이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다.
5. 집은 넓지 않지만 마당과 다락이 있어 편안함이 넓다.
6. 목조주택이라 가습기가 필요 없다, 건강한 집. 건강한 삶.
7. 동네 이웃이 많아 삶이 풍요롭다, 우리아들 어디서 찾지?
8. 아이들에게 추억을 만들어주기 위해 만든 집 거꾸로 나에게 추억을 만들어 준다,
9. 복잡한 세상일은 힘들어도 집에만 오면 힐링이 된다, 월요일 출근하기 싫어!
10. 공부는 모르겠지만 아이들이 항상 웃는 모습이 좋다. 그래서 땅콩집이 좋다, 나는 땅콩집에 산다
목차
Prologue 작은 마당이 있는 땅콩집 이야기 아이들의 웃음소리 우리 아들 별명은 ‘땅콩’ 아이들의 웃음소리 아빠의 미소 캐리비언베이보다 좋아 에어컨 필요없어! 우리 아이 국어 점수 옆집 모모는 행복할까? 텃밭 가꾸기 긍정의 힘 아낌없이 나눠주는 나무 우리 동네 이름은 푸르지오 아낌없이 나눠주는 나무 엄마, 럭셔리주택이 뭐야? 옷집 아이, 만두집 아이, 철물점 아이 육아문제는 땅콩집 마을에 나무집 만들어주세요 뒷동산에 눈썰매 타러 가요 난방비 걱정 내복을 입자 책 100권 읽으면 뭐 해줄 거야? 아이들과30분 놀아주기 우리집은 옆집이 지켜준다 엄마, 뒷동산에 눈썰매 타러 가요! 현욱아 일어나야지! 아내의 눈물 모기장 뚫고 하이킥 왜 이름이 땅콩집이야? 보물찾기 다락방 작은 연주회 다시 아파트로 이사간다! 젊은 건축가들이여 옆집 재모는 나의 큰아들 매트릭스와 땅콩집 Epilogue 나는 왜 집을 짓는가? 부록 나도 마당 있는 작은 집에 산다 -용인 스튜디오 땅콩집 아이들을 위해 직장과 집을 합친 사진작가이야기 -판교 동창 땅콩집 고등학교 동창과 같이 땅콩집 도전하기 -강화 화실 땅콩집 은퇴한 미술 선생님, 집도 필요하지만 나만의 화실이 필요해요 -파주 사랑방 땅콩집 남편 손님이 자주 놀러와요 남편 사랑방을 따로 만들어주세요 -용인 전세 땅콩집 집 짓기 친구를 못 찾았어요. 어떡하죠? 그럼 옆집을 전세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