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02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002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한국건축가협회는 2008년 2월 '친환경건축선언'을 하고 3차례의 국제심포지움을 통해, 건축계는 물론 정부와 지자체, 교육계와 시민사회에서 축적한 성과들을 점검해 보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았으며, 영국과 독일 그리고 일본에서 저명한 친환경건축설계 전문가를 초빙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내용을 주제로 친환경건축을 구현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부분을 연구하였으며,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도시건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로 선진 독일의 사례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책과 제도 그리고 구체적인 실현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 건축가들이 전개해 나아가야 할 실천방안들을 제시하고 토론하였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연구의 성과물로써 친환경건축을 실현하고자 하는 건축설계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발간되었습니다. 따라서 필진의 구성도 친환경건축 관련 학계 전문가와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장은 친환경건축의 개념 및 기후변화와 생태학 등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내용을 수록하였고, 2장은 친환경건축재료와 에너지 그리고 자연자원 등 친환경건축 설계요소를 수록하였으며, 3장에서는 친환경건축을 구현하기 위한 기법과 단지계획 기법 및 인증제도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건축의 친환경 요소 등을 수록하였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연구의 성과물로써 친환경건축을 실현하고자 하는 건축설계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발간되었습니다. 따라서 필진의 구성도 친환경건축 관련 학계 전문가와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장은 친환경건축의 개념 및 기후변화와 생태학 등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내용을 수록하였고, 2장은 친환경건축재료와 에너지 그리고 자연자원 등 친환경건축 설계요소를 수록하였으며, 3장에서는 친환경건축을 구현하기 위한 기법과 단지계획 기법 및 인증제도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건축의 친환경 요소 등을 수록하였습니다.
목차
1. 친환경건축이란?
친환경건축의 개념 및 정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
생태학과 생태학적 패러다임
2. 친환경건축 설계요소
친환경 재료
태양에너지와 건축
친환경 에너지
자연자원의 활용
3. 친환경건축의 구현
패시브 디자인
분산형 빗물관리
환경친화 주거단지계획
친환경건축을 위한 통합설계 프로세스
한국 전통 주거건축의 환경친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