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저자
박맹수
발행사항
서울 : 모시는사람들, 2009
형태사항
366 p. : 삽화, 계보, 지도 ; 24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13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13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 이 책은…
이 책은 지난 30년 동안 동학의 역사와 사상을 연구해 온 필자가 전국 방방곡곡을 발로 찾아다니며 수집한 사료들을 해설하고 해제한 연구들을 모은 책이다. 저자가 발굴하여 소개한 자료들은 대부분 학계에 최초로 보고된 것들이다. 따라서 저자가 새로운 사료를 발굴 소개할 때마다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연구의 새로운 지평이 열렸으며 학계의 연구는 한 차원 진전되곤 하였다. 원 사료들은 속속들이 자료집 형태로 영인되고 있으나 필자의 해제야말로 그러한 원 사료들의 가치를 분명히 드러내 주는 길잡이가 되고 있다.

■ 출판사 서평

미완의 꿈, 동학
동학에 대한 관심은 1990년 대 들면서 폭발적으로 증대했다. 그러나 2000년대를 보내는 이 시점에서 살펴보면 동학의 위상은 여전히 밑바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동학혁명에 참여한 농민군에 대한 명예회복이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학 계승 사업이 지역 축제와 결합하면서 정례 행사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지만, 동학이 꿈꾸던 세상이나 동학의 정신과 사상의 복권은 여전히 미완의 과제로 세월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세상이 팍팍해지고, 인류와 지구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점증할수록 이미 오래 전에 낡은 문명의 파국을 예견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 동학에 대한 관심은 필요불가결한 과제가 되고 있다. 문제는 이미 화석화단계에 접어든 것이 아니냐는 의심까지 받고 있는 동학의 잠재적 가능성을 어떻게 현실화하느냐다.

역사는 사료로써 말한다
이 책의 저자는 30여년 동안 동학을 연구하고, 전국에 흩어진 동학의 현장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그 땅 아래 묻힌 동학의 역사들을 발굴해 오고 있다. 이 책은 그 과정에서 건져올린 사료들에 대한 이력을 담아낸 연구서이다.
저자는 “역사는 사료로써 말한다”는 말로 이 책이 갖는 의의를 설명한다. 한때 흥행하던 동학에 대한 관심도 그러하지만 지금은 잦아진 동학열풍도 모두 동학에 대한 충분한 사료가 뒷받침되지 못한 상황에서 만들어진 상황일 뿐이므로, 이제 다시 시작한다는 자세로 동학사료의 재조명과 그로부터 출발하는 엄정한 동학 연구, 동학 계승, 동학의 역사와 사상 현창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동학은 여전히 유효한 미래의 전망
동학에 대한 관심이 잦아진 원인 가운데 한 축에는 그 용도가 이미 수명을 다했다는 오해가 도사리고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밝혀진 동학 사료--그들 중 많은 것은 이미 10년~20년 전에 드러난 사료이기는 하지만, 그 안에 들어 있는 내용들은 새로운 동학연구에 아직도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이 많다--들을 토대로 다시 한번 동학을 조명하고, 그곳에서 우리 사회가 가야 할 길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저자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다시 동학을 노래하다
이 책은 대중들을 위한 교양서라기보다는 연구자를 위한 안내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문제제기들을 주로 담고 있지만, 동학에 대한 관심을 갖는 분들이라면, 우리 사회에서 동학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어떻게 일어나고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저서가기도 할 것이다.
목차

동학자료의 재검토
※동경대전※에 대한 기초적 연구
※최선생문집도원기서※와 그 이본
동학 2대 교주 해월 최시형 관련 자료 해제
※동학농민운동자료집성※ 해제
동학농민혁명 관련 동학교단 측 자료의 검토
전남지방 동학농민혁명 관련 자료 해제
장흥지방 동학농민혁명 관련 자료 해제
천도교 호암수도원 소장 동학사료 용
경상도 상주 화북 동학 고문서
동학자료 ※교남공적※ 해제
정석진의 ※난파유고※와 나주 지역 동학농민혁명
※일사※와 장흥·강진지방의 동학농민혁명
※동학추고※ 해제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 개관
동학농민혁명기 충청도 공주지역 농민군의 동향
조석헌의 ※북접일기※와 충청도 서북부지역의 동학농민혁명
동학의 칼노래와 칼춤에 나타난 반침략적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