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07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1000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국가와 언어 그리고 종교를 넘어 전 세계에서 사랑을 받는 작가로 자리매김 한 코엘류와 지브란의 신비주의 사상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국가, 언어, 시대 등 공통점이 없는 그들이지만 종교적 신비주의에 침잠했으며 전쟁을 맹렬히 비난했던 그들의 작품세계 저변에 깔린 “모든 것은 하나”라는 종교적 신비주의 사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류의 역사를 점철해온 피비린내 나는 전쟁과 갈등의 해결점을 찾아 온 몸을 던졌던 두 작가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과 범위
Ⅱ. 신비주의의 정의와 수용
1. 신비주의의 기원과 정의: 저항의식과 존재의 합일
2. 신비주의의 수용
2.1. 지리적 요인
2.1.1. 지브란의 레바논: 종교?문화적 다원주의
2.1.2. 코엘류의 브라질: 다인종?다문화주의
2.2. 시대적 상황과 예술적 풍토
2.2.1. 지브란: 세기말과 아방가르드
2.2.2. 코엘류: 히피와 구체주의(concretism)
2.3. 전기(傳記)적 요인
2.3.1. 지브란의 이주민 체험: 보스턴, 파리, 뉴욕
2.3.2. 코엘류의 종교체험: ‘산티아고의 길’
Ⅲ. 신비주의의 정의와 수용
1. 저항으로서의 신비주의
1.1. 지브란의 저항의식
1.1.1. 외세와 조국
1.1.2. 인간과 자연
1.2. 코엘류의 저항의식
1.2.1. 대안사회
1.2.2. 정상과 비정상
2. 존재의 합일로서의 신비주의
2.1. 선과 악
2.1.1. 지브란: 보다 큰 자아
2.1.2. 코엘류: 우주의 존재 원리
2.2. 삶과 죽음
2.2.1. 지브란: 순환과 윤회
2.2.2. 코엘류: 자아의 신화
2.3. 육체와 영혼
2.3.1. 지브란: 본원으로의 회귀
2.3.2. 코엘류: 신의 현시로서의 육체
2.4. 인간과 절대자
2.4.1. 지브란: 사랑과 구원
2.4.2. 코엘류: ‘막툽 makt?b’과 연금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