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하나의 유럽, 발칸유럽을 읽는 키워드
- 저자
- 김철민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 형태사항
- 326 p., 도판 [14] p. : 천연색삽화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07-320)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연구외도서 | G100127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10012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연구외도서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또 하나의 유럽, 발칸 /1
제 1 장 슬로베니아
동유럽으로의 EU 확대, EU와 유로존 가입 이후 슬로베니아 /14
1. 서 론 /15
2. EU와 유로존 발전과정, 동유럽으로의 확대 /17
3. 슬로베니아의 EU와 유로존 가입과정과 그 내용 /24
4. EU와 유로존 가입 이후 슬로베니아의 기대효과와 현황 /29
4.1. EU와 유로존 가입에 따른 부정적 효과 /30
4.2. EU와 유로존 가입에 따른 긍정적 효과 /34
5. 결 론 /43
제 2 장 크로아티아
아드리아해의 보고, 크로아티아 관광산업의 현황과 그 특징 /48
1. 서 론 /49
2. 크로아티아 관광 산업의 현황 /51
3. 크로아티아 관광 산업의 특징과 그 내용 /57
3.1. 환경 친화적 요소 /57
3.2. 자연과 지리적 요소 /59
3.3. 고대 문화와 민속 유산 /63
3.4. 전통 축제와 요리 /66
4. 결 론 /69
제 3 장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무슬림의 기원과 민족적 특징 /74
1. 서 론 /75
2. 보스니아 무슬림의 역사적 형성배경 /77
2.1. 중세 보스니아와 보스니아 교회 /77
2. 오스만 터키 하 보스니아 무슬림 형성과정 /85
3. 보스니아 무슬림의 민족정체성 형성과정 /90
3.1.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의 보스니아 무슬림 /90
3.2.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의 보스니아 무슬림 /98
4. 결 론 /103
제 4 장 세르비아
세르비아니즘과 코소보 /108
1. 서 론 /109
2. 코소보 민족갈등에 대한 이해: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내용 /111
3.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과 전개과정 /118
3.1.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연방 하에서 코소보 민족갈등의 양상 /118
3.2. 코소보 전쟁(1999)의 배경과 의미 /130
3.3 코소보 전쟁 후 코소보와 코소보 평화 협정의 이행 현황 /139
4. 결 론 /146
제 5 장 몬테네그로
세르비아로부터의 독립,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향후 전망 /150
1. 서 론 /151
2. 세르비아니즘의 형성배경과 이론적 특징 /153
3. 역사 속에 비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157
3.1. 중세 두클리야(제타) 공국과 세르비아 /157
3.2. 근대 몬테네그로 독립 왕국과 세르비아니즘 /162
4. 몬테네그로 독립 움직임의 배경과 향후 전망 /165
4.1. 몬테네그로 독립 움직임의 주요 배경과 진행과정 /165
4.2. 독립 국가로의 몬테네그로 /169
5. 결 론 /173
제 6 장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민족 정체성을 둘러싼 문화 갈등과 그 양상 /178
1. 서 론 /179
2. 마케도니아 민족갈등의 역사적 전개과정 /180
2.1. 고대??중세 마케도니아 /180
2.2. 근대 마케도니아 /184
2.3.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하에서의 마케도니아 /188
3. 마케도니아의 문화 갈등 양상과 그 의미 /192
3.1. 대외적 문화갈등 /192
3.2. 대내적 문화갈등 /202
4. 결 론 /213
제 7 장 알바니아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기원과 그 특징 /218
1. 서 론 /219
2. 알바니아 민족의 기원과 이슬람화 과정 /220
3.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알바니아 /224
4. 20세기 코소보 내 알바니아 민족문제의 현황과 그 양상 /228
5. 결 론 /232
제 8 장 불가리아 (1)
슬라브 민족의 자부심, 고대 불가리아어 /236
1. 고대 불가리아어와 그 역사 /237
1.1. 기독교의 수용 /237
1.2. 고대 불가리아어의 창제와 전파 /238
2. 슬라브 문어의 시작, 고대 불가리아어 /243
2.1. 고대 불가리아어 대용어로서의 고대 교회 슬라브어란 무엇인가 /243
2.2. 고대 교회 슬라브어 문자: 글라골리짜와 끼릴리짜 /244
2.3. 고대 교회 슬라브어 대표 문헌 /248
2.4. 슬라브 문자문화의 전파와 그 특성 /252
3. 진보와 보수의 공존: 현대 불가리아어 /256
3.1. 비잔틴, 오스만-터키 제국의 지배와 독립기 /256
3.2. 19세기 언어 발달의 극성기 /258
3.3. 제2차 정서법 개혁과 현대 불가리아어의 출현 /259
3.4. 고대 불가리아어와 발칸언어들의 상관관계 /260
제 9 장 불가리아 (2)
문화 지리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불가리아 /272
1. 일생의례 /274
1.1. 출생 의례 /275
1.2. 결혼 의례 /288
1.3. 장례 의례 /295
참고문헌 /307
찾아보기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