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392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39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의 비준 거부로 오랫동안 표류하던 교토의정서가 우여곡절 끝에 2005년 2월 정식으로 발효되면서 국제 탄소시장은 온실가스의 효율적인 감축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새로운 산업으로서도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많은 나라들은 탄소시장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이해하고, 이 시장에서 헤게모니를 잡기 위해 제도적 지원과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한국 또한 이러한 추세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
국내외 탄소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차 커짐에도 불구하고 탄소시장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이나 일반인의 이해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탄소시장이 새롭게 형성되어 가는 신시장이라는 점과, 탄소배출권의 발행과 거래가 기술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저서는 대학에서 기후환경문제를 공부하는 대학생이나 정책담당자, 실물업계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탄소시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저술하였다. 여기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탄소감축 방법 등 기술적 요소보다는 탄소시장의 구조와 탄소배출권 가격결정과정 등에 초점을 맞춘다.
국내외 탄소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차 커짐에도 불구하고 탄소시장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이나 일반인의 이해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탄소시장이 새롭게 형성되어 가는 신시장이라는 점과, 탄소배출권의 발행과 거래가 기술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저서는 대학에서 기후환경문제를 공부하는 대학생이나 정책담당자, 실물업계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탄소시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저술하였다. 여기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탄소감축 방법 등 기술적 요소보다는 탄소시장의 구조와 탄소배출권 가격결정과정 등에 초점을 맞춘다.
목차
1. 서론
2.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의 개요
2.1. 기후변화협약의 배경과 전개과정
2.1.1. 기후변화협약의 기본원칙
2.1.2. 기후변화협약의 의무사항 및 주요 내용
2.1.3. 기후변화협약 조직 및 이행기구
2.2. 교토의정서 비준과정과 주요 내용
2.3. 교토메커니즘: 탄소시장의 제도적 기반
2.4. 교토메커니즘과 배출권거래제
2.4.1. 배출권 감축과 배출권거래
2.4.2. CDM 사업의 구조와 절차
2.5. 교토메커니즘의 장단점
3. 국제탄소시장의 구조와 동향
3.1. 세계의 탄소시장
3.2. 할당배출권(allowance) 거래시장
3.2.1. UK Emission Trading Scheme(UK ETS)
3.2.2. EU Emission Trading Scheme(EU ETS)
3.2.3. CCX(Chicago Climate Exchange)
3.2.4. RGGI(Regional Greenhouse Gas Initiative)
3.2.5. JVETS(Japan's Voluntary Emissions Trading Scheme)
3.3. 사업배출권(credit) 거래시장
3.3.1. ACX(Asian Climate Exchange)
3.3.2. NYMEX(New York Mercantile Exchange)
3.4. 국제 탄소시장의 동향
3.5. 국제 탄소시장의 특징
4. 자발적(non-Kyoto Voluntary) 탄소시장
4.1. 자발적 시장의 현황
4.2. 자발적 거래시장
4.3. 자발적 탄소시장의 거래 현황
4.4. 자발적 배출권 가격
4.5. 자발적 프로젝트의 표준(standards)
4.5.1. 표준별 베이스라인 설정과 추가성(additionality) 기준
4.5.2. 표준별 프로젝트 유형
4.5.3. 표준별 타당성(validation) 확인 및 검증(verification) 방법
4.5.4. 표준별 등록소(registry)
4.6. 주요국의 자발적 탄소시장 육성 현황
4.6.1. 일본
4.6.2. 영국
4.6.3. 미국
4.7. 자발적 시장의 의미와 전망
5. 국제 탄소배출권 가격 분석
5.1. 탄소배출권의 경제적 가치: 이론적 가격결정
5.2. CER의 경제적 가치
5.2.1. CER 시장구조와 가격결정요인
5.2.2. CER 위험의 종류와 관리
5.2.3. EUA와 CER 가격 스프레드
5.3. 탄소가격에 대한 실증적 연구
5.3.1. 탄소가격 결정모형
5.3.2. 탄소시장의 효율성
5.4. 국제 탄소시장 전망
5.4.1. 시장의 안정적 성장
5.4.2. 탄소가격의 상승
6. 탄소시장의 구성원
6.1. 정부(National and/or Regional Governments)
6.2. 산업/기업
6.2.1. 전력산업(Power Industry)
6.2.2. 정유산업(Integrated Oil and Gas Industry)
6.2.3. 수송산업(Transportation)
6.2.4. 시멘트 산업(Cement Industry)
6.2.5. 자발적 탄소시장에서의 기업
6.3. 탄소펀드(Carbon Funds)
6.3.1. 외국의 탄소펀드 운영 현황
6.3.2. 정부 주도형 펀드
6.3.3. 민간 주도형 펀드
6.3.4. 민관 합동 펀드
6.3.5. 탄소펀드 설립 시 고려사항
6.4. 탄소시장 조성자(market makers)
6.4.1. 컨설팅 회사(Consultants)
6.4.2. 투자은행(Investment Banks)
6.4.3. 탄소거래 중개회사(Carbon Brokers)
6.4.4. 보험회사(Insurers)
6.4.5. 정보공급자(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6.4.6. 법률/회계 자문회사(Accounting and Legal Consultants)
6.5. NGO/소비자
7. 국내 탄소시장의 현황과 전개 방향
7.1. 국내 탄소시장의 현황
7.1.1. 국내 CDM 사업 현황
7.1.2. 탄소펀드와 KCF(Korea Carbon Fund)의 개요
7.1.3.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
7.2.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소 추진 현황
7.2.1. 환경부의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운영안 개요
7.2.2. 지식경제부의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운영안 개요
7.2.3. 한국거래소의 배출권거래소 설립 추진 동향
7.2.4. 사내배출권 거래소
7.3. 국내 탄소시장의 전개와 대응 전략
참고문헌
부표
탄소시장 용어 해설
Carbon Glossary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