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최신) 지반환경공학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2009
형태사항
400 p. : 삽화, 도표 ; 27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1-387,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02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02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지반환경의 공학적 총서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흙은 인간의 문명과 깊은 인연을 맺어왔다. 흙은 생태계의 기반인 동시에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흙은 지금까지 농경 및 산림의 터전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폐기물 및 수질, 대기오염의 문제가 최종적으로 토양환경오염의 문제로 귀착됨이 알려지면서 최근 지반환경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토양 및 지하수 환경오염의 사전 방지와 오염지반의 복원은 국민건강 보호를 책임진 국가의 기본 책무이며, 이러한 일을 수행하는 것은 지반환경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이 해결해야 할 시대적 소명이라 할 수 있다.
최근 토양오염의 실태를 보면 농업생산에 따른 경지오염보다 여타 생산활동 또는 사회활동에서 유출된 오염물에 의한 오염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일례로 폐광산, 비위생폐기물 매립지, 산업공단부지, 유류저장시설, 군부대, 골프장 등에서의 토양오염이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토양오염을 처리?복원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비용의 정화기술이 꼭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그러한 기술들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인식하여 지반환경공학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이나 고급기술자를 위한 적합한 참고서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그동안의 강의 경험과 연구 및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참고문헌과 시방서를 종합 분석하여 대학강의 및 실무활용에 적합하고 국내실정에 부합하는 교재로 이 책을 저술하게 되었다. 이 책은 용어의 통일과 녹색 환경사회에 발맞추어 새로운 과학기술의 보급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있다. 또한 지반환경의 개념, 역사, 분류, 오염방지 및 정화기술, 폐기물매립지의 안정화 및 안정성평가, 사례 등을 망라한 지반환경의 공학적 총서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지반환경 및 토양오염 전문서적으로서의 작은 걸음을 시작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목차

01 서 론
1.1 토양의 정의 및 토양의 정화범위
1.2 국내외 지반환경기술 동향
1.3 최근 국내 지반환경 분야의 주요 관심사

02 폐기물 매립지의 설계 및 시공
2.1 개요
2.2 우리나라 폐기물 매립정책 동향
2.3 폐기물 매립지
2.4 매립시설 사후관리

03 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 및 안정성 평가
3.1 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 조사 및 평가
3.2 매립지 안정화 방안
3.3 폐기물 매립지의 지반공학적 특성
3.4 폐기물 매립지의 안정성 평가

04 토양오염원 및 조사기법
4.1 토양의 오염
4.2 토양오염부지 조사
4.3 토양오염의 원인
4.4 오염물질의 이동 및 해석


05 토양오염 복원기술
5.1 복원기술 동향
5.2 오염토양의 복원절차
5.3 복원기술의 분류
5.4 생물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
5.5 물리?화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
5.6 열적 처리 오염토양 복원기술
5.7 기타 오염토양 복원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