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420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42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탄소가 돈이다 배출권 거래 시대의 국가전략과 금융 비즈니스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 발전의 키워드로 저탄소 녹색 성장을 선포하고 최근에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위원장 김형국)가 발족하는 등 지금 우리 사회는 큰 변화를 맞고 있다. 세계 경제가 곤두박질하는 어려운 가운데서도 우리 경제는 기존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12년 전인 1997년 12월 11일 일본의 고도(古都) 교토에서는 인류 문명의 지속적 발전과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국가간의 중대한 약속이 이루어졌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앞으로 50년 안에 닥칠 지구온난화의 재앙을 막자는 교토의정서이다.
교토의정서는 이미 충분한 경제 발전을 이룬 선진국들에만 온실가스 감축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오는 2012년까지(제1차 의무이행 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일본은 6%, 미국은 7%, 유럽은 8% 줄여야 한다(최대 배출국인 미국은 현재 교토의정서에서 탈퇴한 상태이나 조만간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개발도상국이 제외된 것은 지금의 지구온난화를 초래한 온실가스 배출의 책임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같은 이유로 감축 의무가 주어지지 않았지만 제2차 의무이행 기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2013년부터는 의무가 주어질 것이 거의 확실하다.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든다. 저탄소 녹색 성장을 이루지 못할 경우 국가의 경쟁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토의정서 체제와 교토 메커니즘(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터인데, 아직 우리에게는 이렇다 할 공부 교재가 없는 형편이다.
이 책은 지난 10여 년간 일본이 겪은 숱한 시행착오를 중심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즉, 탄소배출권 거래가 어떻게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지, 어떤 플레이어들이 활약하고 있는지, 배출권을 비즈니스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배출권을 투자 대상으로 삼는 것은 가능한지, 배출권에는 어떤 본질적인 문제가 숨겨져 있는지 등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는 정치인과 국가 공무원, 기업인, 지식인이라면 꼭 읽어야 할 탄소경제 시대의 필독서이다.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 발전의 키워드로 저탄소 녹색 성장을 선포하고 최근에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위원장 김형국)가 발족하는 등 지금 우리 사회는 큰 변화를 맞고 있다. 세계 경제가 곤두박질하는 어려운 가운데서도 우리 경제는 기존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12년 전인 1997년 12월 11일 일본의 고도(古都) 교토에서는 인류 문명의 지속적 발전과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국가간의 중대한 약속이 이루어졌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앞으로 50년 안에 닥칠 지구온난화의 재앙을 막자는 교토의정서이다.
교토의정서는 이미 충분한 경제 발전을 이룬 선진국들에만 온실가스 감축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오는 2012년까지(제1차 의무이행 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일본은 6%, 미국은 7%, 유럽은 8% 줄여야 한다(최대 배출국인 미국은 현재 교토의정서에서 탈퇴한 상태이나 조만간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개발도상국이 제외된 것은 지금의 지구온난화를 초래한 온실가스 배출의 책임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같은 이유로 감축 의무가 주어지지 않았지만 제2차 의무이행 기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2013년부터는 의무가 주어질 것이 거의 확실하다.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든다. 저탄소 녹색 성장을 이루지 못할 경우 국가의 경쟁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토의정서 체제와 교토 메커니즘(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터인데, 아직 우리에게는 이렇다 할 공부 교재가 없는 형편이다.
이 책은 지난 10여 년간 일본이 겪은 숱한 시행착오를 중심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즉, 탄소배출권 거래가 어떻게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지, 어떤 플레이어들이 활약하고 있는지, 배출권을 비즈니스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배출권을 투자 대상으로 삼는 것은 가능한지, 배출권에는 어떤 본질적인 문제가 숨겨져 있는지 등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는 정치인과 국가 공무원, 기업인, 지식인이라면 꼭 읽어야 할 탄소경제 시대의 필독서이다.
목차
감수의 말
제1장 배출권 붐이 일고 있다
제2장 그 배출권은 진짜입니까?
제3장 극적으로 확대되는 배출권 거래
제4장 개발도상국에서 과열되는 배출권 프로젝트
제5장 전 세계로 확장되는 유럽배출권 거래제도
제6장 외톨이가 되고 있는 일본
제7장 배출권으로 돈을 버는 두 가지 방법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