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변화를 위한 새로운 혁신 에너지가 소비자에 의해 재생산된다

세상을 움직이는 에너지: Micro Energy Grid

단체저자
K-MEG 사업단
발행사항
서울 : 팬덤북스, 2014
형태사항
205p. : 삽도 ; 23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205849대출가능-
자료실E20623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20584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20623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변화를 위한 새로운 혁신,
에너지가 소비자에 의해 재생산된다

K-MEG, 융합 에너지 산업의 미래상


전력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대한민국의 최대 전력치는 1980년대부터 10년을 주기로 최근까지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가는 에너지 기본계획, 전력수급계획 등의 장기 정책을 수립하고 피크 전력설비 확대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막대한 경제적.사회적 비용이 수반되어 추가적인 시설 확대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 패러다임이 공급 중심의 정책에서, 아껴 쓰고 나눠 쓰고 만들어 쓰는 형태의 수요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최적의 대안으로 ICT 기반의 마이크로 그리드가 부상하고 있다.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가 2030년의 미래 기술 중 하나로 마이크로 그리드를 언급하면서 누구나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 소비하고 거래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해외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말했다.
그런 점에서 K-MEG은 전기.가스.열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생산과 소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빌딩, 산업단지 및 도시 단위의 에너지 최적화를 실현함으로써 변화하는 에너지 패러다임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 새로운 길을 개척하다

K-MEG(Korea Micro Energy Grid) 사업단은 60여 개 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이전에는 없었던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라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재창조하고 있다. 전력, 가스, 열로 나뉘어 독자적인 망을 형성하고 있었던 에너지원들을 하나의 부대에 담아 한꺼번에 고민하는 첫 과제이며, 에너지 생산과 소비 효율을 에너지 소비자의 입장에서 고려하는 사용자 중심의 시각을 표방하고 있다. 이것은 소수의 에너지 공급자를 중심으로 발전했던 에너지 산업을 다수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균형 있는 소비와 공급의 장을 열어 줄 새로운 전환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K-MEG은 다른 R&D과제와는 다르게 기술 개발보다는 실증을 통한 사업화를 위주로 기획되어 구로의 2,500여 대의 AMI 구축을 통해 지능형 전력망 시범사업의 인프라를 마련하고, 광교테크노밸리에 건물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세종시에도 K-MEG을 활용한 관공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적용하고 있으며, 북유럽 최대의 연구기관인 핀란드 VTT 단지의 80여 개 건물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해외 어떤 실증단지에서도 구현되지 못했던 질적 ? 양적 성장을 이루어가고 있다. 이밖에도 미얀마의 태양광발전을 활용한 오프그리드 실증사업, 시화 산업단지의 열 그리드 사업 등 실제 사업의 모습을 갖춘 실증 사이트도 순항 중에 있다.
처음 이 과제가 기획되고 첫 걸음을 시작했을 때는 K-MEG이라는 것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우려하고 많이 궁금해들 했으나, 3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지금, 많이 고민하고 노력하여 수행해 온 결과들이 수요 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 분산형 발전 시스템 구축 등의 주요 내용이 제2차 국가 에너지 기본 계획에 담겨지고 국가 에너지 정책의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K-MEG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기술 개발 과제의 이름임과 동시에, 에너지 생산과 사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에너지 자족을 구현할 수 있는 종합적인 솔루션을 의미하며, 이는 에너지 기술이 궁극적으로 만들어나갈 목표인 사람, 사물 및 기술 간의 정보가 제한 없이 상호소통하는 초공유 사회로 나아가는 초석이 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끝으로 이 책을 통하여 에너지 R&D과제를 통해 정립된 개념이 대중에 널리 알려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하며, 공급자 중심의 에너지 패러다임이 소비자 중심으로 옮겨가는 이 시점에 많은 독자들이 에너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K-MEG이 어떻게 일상생활을 쾌적하고 스마트한 에너지 자급자족 환경으로 바꾸게 될 것인지, ICT와 융합하여 새롭게 재창조된 에너지 산업의 미래상이 어떻게 투영될 것인지 같이 공감하고 이해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목차
책을 내면서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 새로운 길을 개척하다 - 황대진(K-MEG사업단장/삼성물산 CTO) 추천사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 확산을 기대하며, - 안남성(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 K-MEG, ICT 융합 에너지 산업의 미래상, - 황창규(KT 회장/ 前 지식경제 R&D전략기획단장) 프롤로그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모색하다 Story 1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꾸다 - Micro Energy Grid 1. Energy 2. Micro Energy Grid 3. MEG Platform 4. 시장 기반 조성 Story 2 에너지를 재해석하다 - K-MEG 사업모델 1. 산업단지 재생열 활용 ; 시화산업단지 2. 대형 건물군 에너지 효율화 : 광교테크노밸리 3. 개별 냉난방 건물군 에너지 효율화 : 구로디지털단지 4. 도시 통합 에너지 관리 : 세종시 첫마을 Story 3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다 - K-MEG R&D 실증 1. 분산형 에너지 생산원 2. 스마트 센서 네트워크 3. DC 배전 Story 4 K-MEG을 넘어서다 - K-MEG 해외실증 1. 미국의 리모델링 시장 2. 핀란드의 캠퍼스 MEG 3. 미얀마의 OFF-GRID 에필로그 최종 에너지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다 용어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