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Energien Der Zukunft. Sonne, Wind, Wasser, Biomasse, Geothermie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재생가능 에너지

발행사항
파주 : 다섯수레, 2012
형태사항
191 p. : 삽화 ; 27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159-18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562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56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재생가능에너지 기술은 ‘기후 변화’와 ‘화석 에너지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해야 할 현실이다

기획 의도

세월호 참사 이후 생명과 안전, 지속 가능한 삶이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원자력발전은 우리 생명을 위협하는 것 중 하나이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의 문제점을 피부로 느끼게 되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은 원자력 비중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설치하려는 밀양 송전탑도 고리-신고리 원전 단지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송전하기 위한 것이다.
기후변화가 계속 심화되고 있고 화석 에너지가 고갈되고 있는 지금, 언제까지 기존 에너지 정책을 답습할 것인가? 그 해결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나라는 독일이다. 독일은 2022년까지 원자력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고 재생가능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체제로 전환할 것을 선언한 바 있다. 이 책은 독일을 중심으로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재생가능에너지 프로젝트, 독일의 재생가능에너지법, 태양에너지.풍력.수력.바이오매스.지열을 이용한 여러 기술의 경제성 계산, 독일 국내 및 세계의 시장 분석을 다루고 있다. 첨단 장치의 원리를 한눈에 보여 주는 그림, 현장 사진, 관련 통계는 재생가능에너지의 현주소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독일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 공급 확대가 관련 분야 종사자 수의 증대, 남는 전력의 수출, 생산 비용의 감축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낳게 되었다. 그리고 시민들이 에너지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생산자가 되어 지역의 재생가능에너지 설비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저장 기술 개발의 문제 등 독일이 앞으로 헤쳐 나가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지만, 독일의 사례는 현재 우리를 직시하고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근본적인 성찰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지금은 눈 가리고 아웅 하듯 원자력발전의 안전성을 홍보할 때가 아니라, 재생가능에너지 기술에 대한 정보를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야 할 때이다. 재생가능에너지 시대로 가야 하는 데 공감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길을 가는 데 필요한 구체적 지침을 알려 주는 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책은 재생가능에너지 기술의 현실을 인식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는 변화를 이끌어 내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목차
여는 글_재생가능에너지 시대를 준비하자 1 서론 1.1 이 책의 목적과 목표 1.2 에너지 경계 짓기와 에너지 관찰 1.3 이 책의 구성 2 재생가능에너지의 의미 2.1 재생가능에너지의 정의 2.2 재생가능에너지를 옹호하는 다양한 논거들 2.3 국민경제 효과 2.4 재생가능에너지 지원 법령들 2.5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2.6 에너지 개념의 물리적 기초 3 태양에너지 3.1 태양열발전소 3.2 열을 생산하는 태양열 집열기 3.3 태양광발전 3.4 결론 4 풍력 4.1 바람의 발생 4.2 풍력에너지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기초 4.3 풍력발전 설비의 구조와 구성 형식 4.4 알파 벤투스 4.5 경제 4.6 시장 분석 4.7 결론 5 수력 5.1 수력의 발생 5.2 수력의 이용 5.3 수력발전소 5.4 경제와 생태 5.5 결론 6 바이오매스 6.1 바이오매스의 발생과 종류 6.2 바이오매스의 이용 6.3 경제와 생태 6.4 결론 7 지열 7.1 지구의 구조 7.2 독일의 심지층 지열 잠재량 7.3 지열원 7.4 지열의 종류 7.5 지열의 경제 7.6 생태 7.7 사례-미국의 '게이저스' 7.8 결론 8 전망 8.1 삼쇠 섬(덴마크) 8.2 마스다르 시(아랍에미리트) 8.3 복합 발전소 슈마크(독일) 9 결론 10 부록 10.1 용어 설명 10.2 참고 문헌과 자료 10.3 약어 10.4 단위 표시 10.5 색인